라헨느컨트리클럽 골프장/사진출처=대법원
라헨느컨트리클럽 골프장/사진출처=대법원

라헨느컨트리클럽 골프장/사진출처=대법원
라헨느컨트리클럽 골프장/사진출처=대법원
감정가 934억원의 골프장이 7억원의 채무때문에 경매물건으로 등장했다. 부동산경매정보업체 부동산태인은 13일 제주지방법원 경매6계에서 감정가로 934억6603만6550원이 책정된 라헨느컨트리클럽 골프장과 클럽하우스가 첫 매각에 부쳐진다고 8일 밝혔다.

 

현재 이 물건에 대해 경매를 청구한 채권자는 5명. 이들이 경매절차를 통해 회수하려는 금액은 감정가의 0.77%에 불과한 7억1648만원이다. 사실상 채무액이 크지 않아 취하 가능성이 크다.
라헨느컨트리클럽은 113만㎡(34만평)의 부지에 27개 홀(회원제 18개 홀, 대중제 9개 홀)로 조성된 대형 골프장이다. 법원 물건명세서에 따르면 라헨느컨트리클럽 리조트 조성사업은 사업기간 8년 7개월(2005년 5월~2013년 12월), 책정된 사업비용은 2930억원에 달한다.


이 물건이 경매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것은 물건 자체가 좀처럼 보기 힘들 정도로 크고 우량하다는 사실과 경매 청구권자들의 총 청구액 규모가 감정가의 1%에도 못 미친다는 점이다. 때문에 경매업계는 이 사건이 결국 취하될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실제 지난해 4월 인천지방법원에 등장한 역대 최고 감정가(1765억원) 토지 물건은 경매 신청자의 청구금액이 2600여만원에 불과해 결국 취하로 마무리된 바 있다.
 
이번 사건 역시 경매 청구액이 사업비 규모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고 골프장 경영악화 같은 악재가 돌출되지 않은 만큼 별다른 일이 없는 한 채무자 쪽이 채권을 변제하고 사건 자체를 취하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중론이다.


그러나 만에 하나 낙찰이 성사될 경우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경매 특성 상 말소기준권리 이하 모든 채권이 말소되는 만큼 골프장 회원권 휴지조각이 될 수 있어서다.

5월 초 기준 라헨느컨트리클럽 리조트 골프회원권은 회원권 거래소에서 1억5000만원 선에 거래되고 있다. 정확한 회원수는 알 수 없으나 120실 규모의 콘도미니엄이 건축돼 있음을 고려할 때 경매 낙찰로 인한 파급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대홍 부동산태인 팀장은 “물건의 감정가나 예상되는 낙찰가 등 통상적인 가치에 비해 터무니없이 적은 금액으로 경매 청구된 물건들은 취하 가능성이 크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라며 “이번 물건의 경우 실제 매각에 부쳐진다 해도 입찰보증금만 93억원을 상회하기 때문에 어지간한 자산가나 기업이 아니라면 입찰표를 적어내기가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정 팀장은 “그러나 채권변제가 제대로 되지 않아 골프장이타인에게 낙찰되는 등 기존 회원들의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회원들이 컨소시엄 형태로 투자해 직접 낙찰받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