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루성피부염을 앓고 있는 27세 S씨는 평소에 보습에 신경을 썼지만 갑자기 건조해지는 가을 날씨로 인해 피부 각질이 일어나며 가렵고 통증까지 생겼다. 

이렇게 과도한 피지의 분비가 원인인 지루성피부염은 여름에 심해졌다가 가을이 되면 조금씩 증상이 호전이 된지만 건조한 날씨로 인해 피부가 갈라져 가려움증으로 더 고생을 하게 될 수 있으므로 지루성피부염 환자들은 가을에 더 주의해야 한다.


가을철 지루성피부염을 치료하고 관리를 하는 첫번째는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막아야 하는 것이다. 세안을 하고 난 후 피부가 건조해지지 않게 보습을 항상 신경을 써주고 피부가 가렵다고 긁거나 손을 대는 습관을 피하며 항상 촉촉하게 유지를 시켜준다면 지루성피부염 증상이 호전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원인을 그냥 피부 겉으로만 보고 피부치료로만 생각해서는 절대로 지루성피부염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한다. 피부만을 보지 않고 몸 전체를 보아 원인을 제대로 찾아내야만 지루성피부염을 치료하는데 한 발짝 더 다가갈 수가 있다는 것. 

경희샘한의원 구재돈 원장은 “지루성피부염은 상열성 질환으로써 우리 몸의 열 대사 조절능력에 문제가 생겨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피부질환에 속하지만 원인은 피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몸속의 열대사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게 치료를 해야한다”고 전했다.


이어 “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스테로이드제를 바르거나 먹는 것보다는 몸 속 열대사의 균형을 찾아주는 것이 필요하다. 경희샘한의원에서는 스킨 4S 테라피를 실시하여 환자마다 개개인의 체질, 피부타입을 분류하여 열 대사를 잡아주면서 가을철 건조해지지 않게 수분관리를 철저히 해주며 지루성피부염 환자들이 가을을 무난하게 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라고 조언했다.

가을은 여름보다는 선선해진 날씨로 인해 피부에 자극이 적고 스트레스를 덜 받기 때문에 여름보다는 좋은 환경인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특별히 좋은 환경이라고 말하기에는 어렵다. 

구제돈원장은 "몸속 열대사를 원활하게 조절해주고 피부가 건조해지지 않게 보습을 해주는 등 사소한 것이라도 꼼꼼하게 관리를 해준다면 편안한 겨울을 맞을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환절기에 심해지는 지루성피부염, 치료관리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