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조경제타운 |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는 온라인 플랫폼인 창조경제타운(http://www.creativekorea.or.kr)을 오픈, 이를 상상과 도전으로 창조경제를 실현하는 온라인 교류·협력의 장으로 자리매김시키겠다고 30일 밝혔다.
창조경제타운은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술이 있지만 전문가에게 설명하거나 투자자를 만날 기회가 막혀 있는 사람, 참신한 아이디어가 있어 창업을 하고 싶지만 사업화 전략 등 준비가 충분하지 않은 사람을 지원하는 공간이다. 아이디어의 신기술·신산업화를 위해 다양한 경제주체가 소통·협력하는 공간인 셈이다.
아이디어 사업화나 창업 등에 도전하고자 하는 국민이 자신의 생각을 제안하고, 여기에 기업·출연(연)·대학 전문가들이 자신의 지식과 기술을 보태 사업화 성공 모델을 발굴하는 것이 창조경제타운 운영 프로세스다.
타운의 주요 서비스는 ‘아이디어 제안’, ‘전문가 멘토링’, ‘아이디어 사업 지원 정보’, ‘창조경제 사례’로 구성돼 있다.
아이디어를 제안하면 관련 분야의 멘토가 아이디어 구체화, 지재권화, 시제품제작, 마케팅 등 사업화 전 과정에서 도움을 주는 방식이다. 멘토링 과정에서 선별된 아이디어는 관련 사업을 통해 지재권화 출원, 시제품 제작비용 등 추가적인 지원을 받게 된다.
또한 제안된 아이디어는 은행권청년창업재단에서 예비 창업자를 위해 운영하는 D-캠프를 비롯해 무한상상실, 글로벌창업지원센터 등 오프라인 교류·협업공간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 등과 연계될 예정이다.
현재 창조경제타운에는 데니스 홍 교수(버지니아 공대), 이민화 교수(창조경제연구회장), 박성동 대표(세트렉아이), 이혜숙 교수(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장), 이정수 대표(플리토) 등 기업, 연구소, 대학 등의 현직·퇴직 과학기술자, 벤처 1세대, 투자자, 경영·법률·회계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이 멘토로 참여하고 있다.
또한 타운은 아이디어 사업화를 위한 민관의 다양한 지원 정보를 제공한다. 향후 창업시 필요한 정보를 맞춤형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발전시켜 나간다는 게 미래부 계획이다.
기업, 출연(연), 대학이 보유한 특허·기술을 창조경제타운에 연계하고, 국민들이 이러한 특허·기술에 아이디어를 접목해 사업화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기관의 특성에 맞게 분야별로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를 구현하겠다고 미래부 측은 설명했다.
이와 함께 미래부는 아이디어 보호에 관한 방법과 다양한 사례를 담은 아이디어 보호 네비게이터와 가이드북, 아이디어 공모전을 주관하는 공공기관, 기업 등이 준수해야 할 표준 가이드라인 등을 제작하고 범부처 아이디어 보호 종합대책도 수립한다는 구상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창조경제타운을 통해 국민 개개인의 가치 있는 아이디어가 버려지지 않고 보호받으며 정당한 보상이 따르는 창조경제 문화가 정착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