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임빌·컴투스 이어 위메이드·넷마블, 지구촌 공략 '가속'
최근 모바일게임업계에서는 게임빌과 컴투스가 해외사업의 벤치마킹 사례로 자주 언급된다.
해외 모바일게임시장은 국내시장에 비해 규모가 크고 세계 각국의 다양한 이용자들을 통해 유통망을 자연스럽게 확대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업계 내에서 '꿈의 시장'으로 불린다.
이용자 확대로 해외매출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선순환 구조가 형성된다면 모바일게임업체도 대작 게임으로 승부하는 PC게임 못지않은 규모의 경제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해외에서의 게임 이용자수와 다운로드수가 증가하면서 매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게임빌과 컴투스가 타 모바일게임업체들로부터 부러움을 사고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특히 게임빌이 컴투스를 인수해 해외시장에 강한 두 업체가 결합함에 따라 한국 모바일게임의 해외진출이 탄력을 받게 될 것으로 시장은 기대하고 있다.
◆해외개척 '13년' 게임빌, 분기 매출 100억원 돌파
게임빌은 미국, 일본, 중국 등 3개국에 설립한 지사를 통해 분기 해외매출이 100억원을 돌파하는 저력을 보였다.
게임빌의 지난 2분기 해외매출은 113억원. 분기 해외매출이 100억원을 넘어선 것은 국내 전문 모바일게임업체 중 게임빌이 처음이다. 상반기까지 기록한 378억원의 매출에서 해외매출의 기여도는 54%(205억)나 된다. 국내보다 해외에서 버는 게 더 많다는 얘기다.
지난 2006년 <게임빌 프로야구 시리즈>를 무기로 미주지사를 설립하면서 해외시장에 본격 진출한 이 회사는 2011년 12월 일본 도쿄에 게임빌 재팬, 올 6월 중국 베이징에 게임빌 차이나를 설립하는 등 계속해서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피처폰 시절인 지난 2000년 설립된 모바일게임 개발사로서 일찍부터 모바일게임사업을 전개하며 쌓아온 개발·서비스 노하우가 이 회사에는 든든한 무기가 되고 있다.
특히 게임빌은 해외법인을 통해 법인 소재 국가뿐 아니라 인근 문화권 시장으로도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미국법인은 미국과 캐나다, 남미, 유럽 지역 등 영어 문화권 전역을, 일본법인은 일본시장과 동남아권 전역을, 중국법인은 중국 현지와 중국어를 사용하는 중화권 전역을 담당한다. 이 가운데 게임빌 미주지사의 경우 해외 게임 퍼블리싱 및 출시 게임 서비스 등으로 사업영역을 넓히고 있다.
한국 모바일게임으로는 처음으로 미국 애플 앱스토어 매출 1위를 기록한 <제노니아> 시리즈, 글로벌 흥행작 <앵그리버드>를 누르고 게임 전체 인기 순위 1위를 차지한 <에어펭귄>, 세계시장에서 출시 5개월 만에 1000만 다운로드를 달성한 <다크어벤저> 등이 글로벌시장에서 흥행한 게임빌의 작품이다.
특정 장르에 편중되지 않고 RPG, 아케이드, 액션, 전략 등 다양한 장르가 세계시장에서 호응을 얻고 있는 모습이다. 장르의 다양성을 살린 라인업으로 이용자 유입과 충성도를 높인다는 게 게임빌의 글로벌 해외사업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게임빌이 자체 개발·운영하고 있는 '게임빌 서클'을 통해 이벤트·신작 출시 등의 소식을 전달한 것이 전세계 다운로드 3억2000만건 돌파 기록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규창 게임빌 미주법인장은 "게임빌은 해외시장에서 다수의 모바일게임을 흥행시킨 회사로서 높은 신뢰도와 인지도를 갖추고 있으며 이 때문에 제휴·협력에 대한 해외 유명개발사들의 호응이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
![]() |
◆컴투스, '골프스타' 성공으로 해외사업 '청신호'
게임빌이 700억원에 인수한 컴투스의 올해 2분기 매출액은 203억원. 이 가운데 해외매출 기여도가 전분기보다 12%포인트 커진 34%에 달한다.
모바일게임 1세대 기업인 컴투스는 게임 콘텐츠 자체 개발력을 키우고 이를 기반으로 미국, 일본, 중국에 현지 법인을 세워 해외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빛을 본 게임이 바로 해외에 선출시해 큰 호응을 이끌어내고 있는 골프게임 <골프스타>다. 이 게임은 지난 4월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를 통해 해외 마켓에 론칭돼 영국 등 해외 43개국에서 앱스토어 스포츠 장르 1위를 차지했다.
이 게임의 성공에는 컴투스의 자체 모바일게임 플랫폼인 '컴투스 허브 2.0'의 역할도 컸다. '컴투스 허브 2.0'을 통해 이용자가 전세계 게이머들과 페이스북 친구, 지인들과 함께 플레이를 할 수 있도록 한 것.
컴투스는 한국 국기를 걸고 미국, 일본, 영국 등 해외 주요 국가의 골프 게이머들과 경쟁을 펼칠 수 있도록 <골프스타>의 재미요소를 강화함으로써 해외유저들을 끌어들이는 데 성공했다.
이 회사는 <골프스타>에 이어 라이프사이클이 긴 모바일게임들을 집중적으로 개발해 라인업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해외시장 공략에 더욱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다음 타자, 위메이드·CJ E&M 넷마블…홈런칠까?
아직 해외매출 비중은 미미하나 게임빌, 컴투스를 바라보며 글로벌시장을 노크하는 기업들도 속속 나오고 있다.
<윈드러너>, <에브리타운>으로 인기를 끈 위메이드는 일본에서 선전하고 있는 라인, 중국 최대 모바일메신저 위챗과 오픈마켓 360, 미국의 페이스북 등 해외 유력 플랫폼을 통해 지속적으로 게임을 출시하고 있다.
<윈드러너>는 라인과 360을 통해 일본, 중국 시장에 론칭됐으며 이에 앞서 지난해 12월에는 라인에 <슈가팡>이 입점된 바 있다. 또한 이달부터는 페이스북 <윈드러너> 론칭으로 북미·유럽시장을 공략한다.
그런가하면 CJ E&M 넷마블(이하 넷마블)은 글로벌 현지법인들을 중심으로 하반기부터 자사의 주력 모바일게임을 중국, 일본, 대만, 북미 등에 본격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하반기에는 인기 모바일 I.P(Intellectual Property)를 통해 글로벌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가속도를 붙인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이 회사는 지난해부터 기존 일본법인에 더해 북미·태국·대만·인도네시아 등에 현지법인을 설립했다. 최근에는 터키 온라인게임 퍼블리싱회사인 조이게임사 지분 50%를 확보하는 등 전략적 지분투자를 단행하며 신흥시장 공략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기도 했다.
앞서 넷마블은 지난 7월말 야구게임 <마구마구 2013>과 레이싱 액션게임 <다함께 차차차>를 대만과 중국시장에 각각 선보였으며, 8월에는 라인과 손잡고 미니게임 <다함께 퐁퐁퐁>을 일본시장에 내놨다. 하반기에는 <모두의마블>을 라인을 통해 일본시장에 선보인다.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301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