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정회성 기자
뉴스1 정회성 기자

요즘 주식시장을 보는 즐거움이 쏠쏠하다. 코스피지수가 지지부진하던 박스권 장세에서 벗어나 2050선까지 상승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10월1일 1998.87로 마감했던 코스피지수는 10월22일 2056.12까지 치솟았다.

증시 상승을 이끈 건 40영업일 넘게 순매수세를 이어가고 있는 외국인이다. 지난 8월23일 이후 외국인의 유가증권시장 누적 순매수 규모는 13조원에 육박한다. 이에 코스피지수가 연내 2200선까지 상승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물론 외국인의 매수세가 앞으로 더 이어진다는 전제 아래다.

하지만 최근 원화강세가 이어지면서 이런 기대감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지난 10월24일 원/달러 환율은 장중 1054.3원까지 떨어지며 연내 최저점인 1054.5원이 붕괴됐다.   

기본적으로 주가와 통화가치가 함께 움직인다는 점을 고려할 때 최근의 원화강세는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과거에도 한국 외환시장에 달러가 충분히 공급되고 경제가 원활하게 돌아갈 때 원화강세가 나타났다.

하지만 원/달러 환율이 1060원 밑으로 내려가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금까지 외국인은 원화강세 시 대체로 순매수 기조를 유지하다가, 원/달러 환율이 1060원 이하로 내려갈 경우 순매도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외국인 매수가 이어졌던 지난해 12월 역시 원/달러 환율이 1070원까지 떨어지자 외국인은 매도세로 돌아섰다. 따라서 1070원보다 낮은 1050원선까지 내려간 현재 외국인의 부담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진 만큼 변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민상일 흥국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현재의 환율 레벨에서 추가적인 하락세가 이어질 경우 외국인의 매수 강도가 현재보다 현저히 약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원/달러 환율이 1050원을 정점으로 더 떨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돼 외국인의 매수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김학균 KDB대우증권 애널리스트는 "그동안 달러약세의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했던 미국 연준의 자산매입 축소시점이 크게 미뤄진 만큼 현재 상황에서 환율이 더 강하게 떨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원화강세에 웃는 산업도 있다. 조선과 유통이 대표적이다. 특히 유통업체의 주가는 환율과 역상관관계를 갖고 움직인다. 지난 6월25일 이후 환율이 8.6% 하락하는 동안 유통지수는 17.5% 상승했다. 이는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 상승률인 15.6%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조선업 역시 원화강세기간에 선박가격 상승, 수주 증가, 주가 상승이 함께 나타난다. 상선은 해양과 달리 국산화비율이 80% 이상이어서 원화가 기준이 된다. 이에 조선업체들은 원화 선가를 산정한 후 환율을 곱한 외화 선가를 두고 선주들과 협상한다. 따라서 원화강세가 나타나면 선박 가격이 올라가는 것이다.

하지만 원/달러 환율이 1050원을 임계점으로 더 하락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유통업과 조선업의 주가 역시 하락 반전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홍성수 NH농협증권 애널리스트는 "원화강세 수혜업종들은 환율 변화에 막대한 영향을 받는다"며 "현재 환율이 연내 최저점 수준 가까이 하락하고 있는데, 환율이 상승세로 돌아설 경우 유통업종의 주가 역시 하락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303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