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의 20대 후반부터 40대 전반의 전국 500가구(1인가구와 3~4인가구 각 250명)를 대상으로 ‘1인가구 증가가 소비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소비여력이 더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1인가구는 양육이나 가족부양 부담에서 자유로운 까닭에 소비여력이 3~4인가구에 비해 더 크다고 대한상의는 분석했다.
대한상의는 1인가구들의 소비행동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소비키워드를 'S.O.L.O' 즉, 자기지향(Self), 온라인지향(Online), 저가지향(Low Pirce), 편리성지향(One-stop)으로 정의했다.
먼저, 1인가구 증가는 나를 위한 자기지향성(Self-orientation) 소비를 증가시킬 것으로 전망됐다.
향후 적극적으로 지출을 늘리고자 하는 항목으로 1인가구는 ‘여행’(41.6%)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자기개발’(36.0%), ‘레저‧여가’(32.8%), ‘건강’(32.0%), ‘취미’(26.0%)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출을 줄이고자 하는 항목으로는 ‘외식’(39.2%), ‘통신비’(33.6%), ‘의류‧패션’(16.4%), ‘식품’(16.0%)을 차례로 들었다.
이어 1인가구 증가는 온라인(Online)의 영향력을 한층 더 높여줄 것으로 보인다. 1인가구의 품목별 구입처 비중을 조사한 결과 신선식품과 가공식품을 제외한 패션‧의류(63.6%), 가전(53.2%), 신발‧구두(52.8%), 화장품(52.0%) 가정‧생활용품(41.6%) 등 대부분의 카테고리를 주로 인터넷을 통해 구입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1인가구의 증가는 저가지향(Low price) 소비트렌드를 더욱 확산시킬 것으로 보인다. 세일기간을 기다리는지를 묻자 1인가구의 과반수(51.2%)가 ‘그렇다’고 답했다. <‘그렇지 않다’ 13.2%, ‘보통’ 35.6%>.
또 다소 비싸더라도 품질이 좋은 식품‧재료를 구입하는 편인지를 묻는 질문에 3~4인가구는 ‘그렇다’는 응답이 55.6%로 절반을 넘었지만, 1인가구는 ‘그렇다’는 응답이 27.6%에 그쳤다.
이어 1인가구는 간편하고 편리하게 한 번에 해결하려는 원스톱(One-stop) 소비경향이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어떤 형태로 요리나 조리를 하느냐는 질문에 3~4인가구는 ‘식선식품’(76.6%), ‘간편식’(12.0%), ‘가공식품’(10.3%) 순으로 답한 반면, <‘기타’1.1%> 1인가구는 ‘신선식품’(39.1%), ‘간편식’(38.5%), ‘가공식품’(21.8%) 순으로 답해<‘기타’ 0.6%> 1인가구가 3~4인 가구에 비해 간편식은 3배, 가공식품은 2배나 더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집 주변에 어떤 점포가 있었으면 좋겠느냐는 질문에도 1인가구 응답자들은 한 곳에서 다양한 상품을 한 곳에서 구입가능 한 ‘대형마트’(34.4%)를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저가판매점’(29.2%), ‘SSM’(9.6%) 등을 차례로 들었다. <‘전통시장’ 8.0%, ‘쇼핑센터’ 6.4%, ‘편의점’ 5.2%, ‘기타’ 7.2%>
혼자 사는 것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서도 ‘만족한다‘는 의견(56.4%)이 ’그렇지 않다‘라는 의견(8.4%)을 크게 웃돌았다. <‘보통’ 34.8%> 만족하는 이유로는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해서’(87.9%), ‘부모 등의 간섭을 받지 않아서’(34.0%), ‘정신적으로 자립가능해서’(29.8%), ‘경제적으로 자립이 가능해서’(25.5%), ‘자유로운 이성교제가 가능해서’(18.4%) 등을 차례로 답했다. <복수응답>
1인가구 소비자들을 위해 향후 새로 개발되거나 확대되었으면 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해서는 ‘반찬’(45.2%)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식사대용식품’(44.0%), ‘1인가구 전용코너’(43.6%), ‘배달서비스’(42.4%), ‘랜털서비스’(39.6%) 등을 차례로 들었다. <복수응답>
김경종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소비여력이 큰 1인가구가 새로운 소비주체로 부상하고 있다”며 “기업들은 이들의 연령별 라이프스타일과 소비특성을 세부적으로 면밀히 분석하고, 이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상품‧서비스 개발노력 등을 통해, 1인가구 증가에 따른 시장구조 변화에 더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1인가구 시장을 잡아라.. 반찬·식사대용·1인가구 등 소비 좋아
강동완
5,921
2013.10.29 | 15:3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