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후반부터 퇴행성 관절염에 시달린다? 최근들어 퇴행성 관절염 증상과 비슷한 통증을 호소하는 30대 환자들이 병원을 찾는 횟수가 점점 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여성들에게 이와 같은 퇴행성 관절염이 좀더 빨게 찾아오는 편이라고 하는데, 관절염은 무릎 안쪽의 관절연골이 닳아 서서히 0자형의 휜 다리가 되며 체중이 무릎 안쪽으로 실려 점점 악화되는 질환으로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빠른 치료를 받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퇴행성 관절염의 자가진단 방법은 무릎에 휜다리 증상이 일어나게 되는 일명 O자형 다리다. 연골이 바깥쪽보다는 안쪽부터 손상되어지는 편마모 현상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것. 


30대 후반, 무릎 안쪽 통증온다면 퇴행성 관절염 의심해봐야…
연골의 바깥쪽부터 닳아지는 이유는 평소 걸음걸이가 팔(8)자 걸음처럼 특이하게 걸어서 생길 수도 있으며, 보통은 일반적인 보행자세로 인해 연골 안쪽부터 손상을 입히게 된다. 

이와 같은 환자들에게는 근위경골 전골술로 치료가 가능한데, 퇴행성관절염으로 다리가 휘어진 환자들과 40~50대의 변형이 있는 활동적인 환자들에게 적합하다.
절골술을 통해 무릎 아래의 경골(종아리 안쪽뼈)에 인위적인 절골을 시행하여 무릎을 'X자형' 다리로 만들어서 무릎관절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무릎 내측에서 무릎 외측으로 옮겨 근복적인 통증을 완화시키는 치료방법이다.

관절염 치료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인공관절 수술이 많이 알려져 있지만, 인공관절의 수명이 10~20년 정도로 비교적 짧기 때문에 40~50대의 이른 퇴행성관절염 환자들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인천모두병원의 김민종원장은 "근위 경골 절골술(일명 휜다리교정술)은 빠른 치유 효과과 함께 인공관절 사용을 뒤로 미뤄서 받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좋으며, 내반슬의 무릎을 정상적인 외반술로 교정하는 방법으로 체중 부하 시 상하지 않은 무릎은 외측면을 사용하게 하여 관절염에 의한 무릎 통증을 없애주며 궁극적으로 무릎의 수명을 연장시켜 주는 장점이 있어 젊은 퇴행성관절염 환자들에게는 제격의 치료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