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는 19일 보도자료를 통해 “최근 시간선택제 채용을 발표했거나 채용예정인 기업들에 대해 우리부에서 강요하거나 압력을 행사한 일은 없다”며 “자동차, 조선, 중공업 등 근로자 숙련도가 필요한 중장비 업종의 경우 시간선택제 일자리 활용의 여지가 적어 ‘시간선택제 일자리 박람회’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시간선택제 일자리는 청년이 선호하는 일자리를 둘로 나누는 방식으로 창출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사회에 만연된 장시간 근로를 줄여 신규인력 수요를 창출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고 숨어있는 일자리, 적합직무를 발굴해서 시간선택제로 활용하는 등 기존에 없던 일자리를 새로 만들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반응은 18일자 모 신문에 <숙련 필요한데 시간선택제 일자리 강요?>, <4~6시간 일자리 탓 청년 취업기회 축소 우려> 제하 기사가 나온데 대한 해명이다.
이어 “시간선택제 일자리는 청년이 선호하는 일자리를 둘로 나누는 방식으로 창출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사회에 만연된 장시간 근로를 줄여 신규인력 수요를 창출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고 숨어있는 일자리, 적합직무를 발굴해서 시간선택제로 활용하는 등 기존에 없던 일자리를 새로 만들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반응은 18일자 모 신문에 <숙련 필요한데 시간선택제 일자리 강요?>, <4~6시간 일자리 탓 청년 취업기회 축소 우려> 제하 기사가 나온데 대한 해명이다.
고용노동부는 “시간선택제 일자리는 청년이 가야하는 전일제 일자리를 쪼개거나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일자리의 문제점을 보완하면서 서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한다”고 재차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