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니에르병은 회전감 있는 현기증과 청력 저하, 이명(귀울림), 이 충만감(귀가 꽉 찬 느낌) 등의 증상이 동시에 발현되는 질병으로, 1861년에 프랑스 의사 메니에르(Meniere)에 의해 처음 확인된 급성 현기증을 일으키는 가장 대표적인 내이 질환이다.

아직까지 원인이 완전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내림프 수종이 주된 병리현상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알레르기가 원인이 된다는 보고도 있다. 

과로 및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가 있고, 특히 여자는 월경 주기와 관계가 있다는 임상 실험 결과를 통해 이들 스트레스 호르몬이 이 질환의 발병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지만, 아직 명확하지는 않다.

또다른 원인은 체내에 나트륨이 축적되는 경우, 전신 대사 장애나 갑상선 기능 저하증 등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발병 초기에 그 정도가 변하는 난청이 저주파수대에서 시작되며, 이는 메니에르병의 특징적인 증상이다. 이후 점차 병이 진행되면서 고음역에서 청력 소실이 발생한다. 고음역에서 먼저 청력 변화가 시작되는 경우도 있다. 
제공=이미지투데이
제공=이미지투데이
난청은 가장 흔한 증상으로, 초기에는 한쪽 귀에서만 나타나고, 병이 진행되면 20~50% 정도의 환자에서 양측 모두에 증상이 나타난다. 초기에 회전성 현기증은 격렬한 증상으로 나타나고 오심, 구토를 동반하며, 돌발적으로 발생하고, 20~30분 내지 수시간 동안 지속된다.

메니에르병은 초기 발병 환자의 약 80%가 자연적으로 치유될 수 있는데, 발작 증세의 주기가 환자마다 다르게 나타나고 약물치료의 효과에 대해서 아직 논란이 있기에 완치여부는 아직 완전치 않다. 

따라서 예방 및 식이요법이 중요한데, 하루 1g 정도로 염분 섭취를 제한하는 저염식과 술이나 커피, 담배, 스트레스를 피할 것이 권장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