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www.kt.com)는 서울지역 광대역 LTE 서비스에 이어 수도권 전지역에 광대역 LTE 구축을 완료했다고 25일 밝혔다.
KT는 지난 9월14일 서울시 4개구(강남구, 서초구, 중구, 종로구)지역을 시작으로 9월 말 서울전역에 LTE 구축을 완료했다. 이어 25일 인천·경기를 포함한 수도권 전지역과 지하철 전구간에 광대역 LTE 구축을 완료함으로써 수도권 전역으로 광대역 서비스를 확대했다.
이로써 KT LTE 가입자들은 서울은 물론 인천 백령도 등 섬지역과 파주시 임진각 등의 경기 외곽지역을 포함한 수도권 전 지역(옥내·외)에서 최대 150Mbps급의 속도로 LTE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또한 KT는 지하철 1~9호선뿐만 아니라 분당선, 과천선 등의 수도권 지하철 구간과 공항철도 및 일산·경의선 구간에 광대역 LTE 구축을 완료했다. 현재 수도권 전지역의 지하철 및 철도 구간에서 광대역 LTE 서비스가 가능하다.
특히 KT의 경우 기존의 주력망인 1.8GHz 대역을 그대로 광대역화하는 방식으로 LTE를 구축하기 때문에 고객 입장에서 단말기 교체 없이 기존 LTE 단말기로도 최대 100Mbps급의 속도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광대역 LTE 용도로 출시되는 신규 단말기로 교체할 경우 최대 150Mbps급의 LTE 속도 구현이 가능하다.
KT의 이번 광대역 LTE 서비스를 통해 지니 등 HD 고품질 오디오 서비스, 유튜브 등 다양한 VOD 스트리밍(Streaming) 서비스, 영화나 올레TV 모바일 등 Full HD 동영상 서비스 및 고품질·대용량의 콘텐츠 & 미디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KT에 따르면 지난 9월14일 서울지역 광대역 LTE 서비스 개시 이후로 트래픽 다운로드 시간 단축으로 자사 고객의 서비스 사용량이 11월1~22일 기준 20% 이상 증가했다.
오성목 KT 네트워크부문장(전무)은 “KT는 내년 1월 중 광대역 LTE 전국망 서비스 구축 준비를 완료할 계획”이라며 “2014년 하반기, 광대역 LTE와 LTE-A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전용 칩셋이 출시되는 시점에 최대 225Mbps급의 속도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KT는 광대역 LTE와 더불어 900MHz와 1.8GHz를 결합해 전송속도 최대 150Mbps급의 LTE-A 서비스를 서울·수도권을 제외한 전지역에서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