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저근막염 증가, 3배, 하이힐'
족저근막염 증가, 50대 여성 최다...젋은 여성도 증가추세
여성 45세 일반 방사선 사진, 족저근막의 기시부에 골극(spur, ↑표시)보임(제공=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걸을 때마다 발바닥에 찌릿해지는 통증을 호소하는 족저근막염이 증가추세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은 최근 5년간(2008년~2012년) ‘족저근막염(M72.2)'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내놓았다 

이에 따르면 전체 진료인원은 2008년 5만812명에서 2012년 13만8492명으로 8만7680명이 늘어 최근 5년간 2.7배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28.5%로 나타났다.
성별 진료인원을 비교해보면 남성에 비해 여성이 많았는데 2008년에는 1.2배(5372명), 2012년에는 1.4배(2만4334명) 많았다.

또 2012년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은 50대가 472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60대가 420명이었다. 

성별로 분류하면 여성은 50대가 657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60대(499명), 40대(467명), 30대(292명), 70대(272명), 20대(184명) 순(順)이었으며, 남성은 60대가 335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30대(290명), 50대(286명), 70대(282명), 20대(177명) 순(順)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윤한국 교수는 “여성의 경우 주로 폐경기를 기점으로 호르몬의 변화가 생기면서 발의 지방층이 얇아져 쿠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기 때문에 40~50대 중년 여성에서 족저근막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면서 “최근에는 굽이 높은 하이힐이나 쿠션이 적은 레인부츠를 즐겨 신는 여성이 늘면서 젊은 여성들도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하이힐을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고 쿠션이 충분한 신발을 신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조언하며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고 무리한 운동을 피하는 것이 좋은데 충격 흡수가 잘되지 않는 신발을 신고 조깅이나 마라톤 등은 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