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만 소상공인들의 권익을 대변할 소상공인연합회는 18대 국회 막판 ‘소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특별조치법’이 발효되면서 설립이 가시화됐다. 하지만 연합회 출범을 놓고 소상공인 단체들간 이견이 생기면서 크게 소상공인연합회 창립준비위원회(창준위)와 소상공인연합회 창립추진위원회(창추위) 두 진영으로 갈렸다. 1년여간 두 단체는 머리를 맞대 통합을 도모했지만 연합회의 임원 숫자와 선정 방식 등을 두고 의견을 좁히지 못한 채 이전투구 양상을 벌여왔다.
![]() |
이런 가운데 최근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가 두 단체 중 창준위의 ‘배후역할’을 했다는 문서가 공개돼 논란이 일고 있다.
문서를 폭로한 측은 상대진영인 창추위. 이 단체는 지난 11월14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중기중앙회가 창준위를 지원하기 위해 사무실을 제공한 것은 물론 중앙회 예산까지 들여 상근인력을 파견했다”고 주장했다.
창추위가 공개한 문서에 따르면 중기중앙회는 창준위에 ▲80여평의 사무실 제공 ▲컴퓨터, 전화기 등 집기비품 지원 ▲상시 직원(전 조합전무이사) 파견 ▲창준위 수시요청시 업무지원(중기중앙회 내 소상공인지원단이 담당) 등의 지원을 약속했다.
그러나 중기중앙회 측은 “창준위에 사무실 지원, 행정적 지원을 한 부분은 있다”면서도 “창추위와 창준위 양측에 모두 지원사실을 알렸고 창추위는 개인업체 사무실을 쓰고 있다고 해서 창준위가 (혜택을) 받게 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한쪽 단체에 업무지원을 몰아준 것 외에 중기중앙회는 현재 소상공인단체의 성향을 파악해 사찰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실제 창추위에 우호적인 논조를 펴고 있는 소상공인신문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중기중앙회는 소상공인단체들과의 간담회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각 단체의 ‘성향’을 'O'과 ‘△’로 분류했다.
소상공인신문은 “중기중앙회에 협조적인 단체는 O로, 비협조적인 단체는 △로 표시했다”며 “문건에는 나와있지 않아도 ‘X'로 표시한 단체도 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실제 (X로 표기된) 몇몇 단체는 얼마전 중기중앙회로부터 집중적인 감사를 받기도 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성향파악이 아니고 (소상공인단체들에) 간담회 참석을 요청했는데 오겠다고 한 단체대표를 ‘O'로, 참석을 결정하지 못한 단체장은 ‘△’로 표기한 것 뿐”이라며 사찰 가능성을 일축했다.
하지만 본지가 확인한 중기중앙회-소상공인단체간 간담회 준비자료에는 단체장들의 참석여부를 묻는 란은 별도 없었으며 ‘성향’이라는 기준이 명시돼 있다.
법정단체인 소상공인연합회가 출범하면 중기중앙회에 이은 '제6의 경제단체'가 될 것이 확실시 된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소상공인 업무를 담당해온 중기중앙회가 소상공인연합회 출범을 견제하고 있다는 설이 나온다. 여기에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일부 정치권 인사들이 소상공인 표심을 의식해 연합회 설립에 관여했다는 얘기도 돌아 이래 저래 중기중앙회를 둘러싼 논란은 확산되고 있다.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310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