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야생철새인 가창오리떼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의 감염체로 밝혀지면서 방역에 비상이 걸린 20일 충북 서천군 화양면에서 가창오리가 떼 지어 날아가고 있다.(사진=서천 뉴스1 송원영 기자) |
현재 가창오리의 도래지 주요 거점은 8곳이다. 아직 AI 추가의심 신고는 없다. 하지만 겨우내 도래지를 차례로 이동하는 가창오리의 특성상 전국 확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가축위생방역본부, 농림축산검역본부, 전국의 9개 수의과대학, 지자체 등을 통해 철새에 대한 예찰 및 수거 검사를 대폭 강화하고 있다.
가축위생방역본부가 실시하는 전국의 주요 철새도래지(37개소) 및 9개 시도 36개 시군의 집중관리지역(과거 AI발생 및 야생조류 AI항원항체 분리지역)에 대해 실시하고 있는 야생조류 분변 및 폐사체에 대한 시료 채취검사는 당초 계획보다 확대 시행하고 있다.
이에 대한 예찰 결과는 시군에 전파하고 특이사항 발생 시 인근 지역에 소독 및 방역을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AI 확산을 막기 위해 내린 일시 이동중지 명령을 예정대로 20일 자정 해제했다. 발병원인이 철새로 확인된 만큼 이동 조치가 AI 확산을 막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에서다.
권재한 농림축산식품부 축산정책국장은 “추가적인 의심 신고 건이 없고 역학적으로 관련된 24개 농장에서 특이증상이 없어 이동중지 명령을 해제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