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진룡, 이하 문체부)는 이같은 내용은 내용을 담은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과 함께 수행한 ‘양성평등 관점에서의 영유아․아동용 문화콘텐츠에 대한 모니터링 연구’결과를 28일 발표했다.
모니터링단은 유아콘텐츠 및 양성평등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 모니터링위원단과, 2차례의 모니터링 교육을 수료한 대학생들로 구성된 일반 모니터링단으로 조직되었으며, 모니터링은 전문 모니터링 위원들의 지도 및 관리 아래 진행되었다.
모니터링 대상은 웹툰, 유아・아동 도서, 영상콘텐츠,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 APP) 등에서 인기 있는 문화콘텐츠들이었는데, 선정된 아동‧유아도서 34권, 영상콘텐츠 40건, 웹툰 38건, 앱 16건 등 총 128건의 문화콘텐츠 분석한 결과 총 1141건의 양성평등 향상/저해 요소를 발견되었으며, 이에 양성평등 관점에서의 문화콘텐츠 제작 및 보완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모니터링단은 양성평등 관점에서의 문화콘텐츠 접근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콘텐츠의 창작성이 저해된다는 점이라고 꼽으며 이미 만들어진 콘텐츠의 스토리 전개나 인물 구성을 바꾸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기획단계부터 이를 염두에 둘 것을 조언했다.
또한 현실적으로 콘텐츠의 재미, 현실과 콘텐츠와의 관계, 각종 설정 등의 이유로 성 불평등 요소를 콘텐츠 내에서 100% 제거하기는 어려운 만큼 이러한 요소가 아이들에게 잘못 받아들여지지 않도록 학부모와 교사들의 올바른 지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문체부는 "이번 연구결과를 종합한 ‘양성평등 관점에서의 영유아・아동용 문화콘텐츠 생산 가이드라인’을 제작하여 학부모・교사단체, 문화콘텐츠 제작업체 등에 배포할 예정"이며 "관련 우수사례 소개 및 앱 개발 등 다양한 후속조치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양성평등의 부정적 사례로 제시된 동요'우리엄마는 박씨'(출처=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