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증식성 당뇨망막병증 |
우리몸의 어느 한곳도 소중하지 않은 곳이 없겠지만, 특히 5감을 전달하는 감각기관은 세상과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기에 살아가는데 있어 더욱 중요하다할 수 있다. 그런데 5감 중 세상을 바라보게 해주는 눈 건강에 대한 적신호가 켜졌다.
국민건강보험은 13일 '망막장애 환자 증가' 사실을 담은 보도자료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망막장애로 인한 건강보험 환자가 매년 10% 이상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망막은 우리 눈 내부에 있는 얇은 신경막으로 눈에 들어온 빛을 전기신호로 바꾸어 신경을 통해 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이런 카메라의 필름에 해당되는 망막조직에 손상이 오는 경우를 망막장애라고 한다.
그런데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이날 발표한 2008년부터 2012년까지‘망막장애(H30-H36)’로 인한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망막장애 질환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2008년 54만명에서 2012년 86만명으로 연평균 12.2%씩 증가하고 있었다.
이를 2012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60대(22만 7천명, 26.5%)가 가장 많았고, 70대(19만 4천명, 22.6%), 50대(18만 8천명, 21.9%) 순(順)으로 나타났으며, 수술인원은 60대(2만 4천명, 24.2%)가 가장 많았고, 50대(2만 1천명, 21.5%), 70대(1만 7천명, 17.5%) 순(順)으로 나타났다
특히 혈압, 당뇨 등 질환 관련 망막장애(H35~H36)는 2012년 전체환자 76만명 중 40세 이상 68만명(89%)으로 40대 이상에서 빈발하고 있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정은지 교수는 60대이상에서 망막장애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하여 “노인층에서 많이 발병하는 고혈압, 당뇨와 망막장애질환이 무관하지 않다“면서 “고혈압은 노인성 황반변성 및 망막혈관폐쇄의 공통적인 위험인자이므로 혈압을 잘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뇨망막병증은 실명을 초래하는 대표적인 망막질환이므로 당뇨환자의 경우 망막병증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당 조절을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하였다.
이어 “망막정맥폐쇄와 같은 혈관질환 및 황반원공, 망막전막도 고령층에서 많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시력저하를 유발하는 대부분의 망막질환도 노령인구 발생빈도가 높다”고 덧붙였다.
국민건강보험은 13일 '망막장애 환자 증가' 사실을 담은 보도자료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망막장애로 인한 건강보험 환자가 매년 10% 이상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망막은 우리 눈 내부에 있는 얇은 신경막으로 눈에 들어온 빛을 전기신호로 바꾸어 신경을 통해 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이런 카메라의 필름에 해당되는 망막조직에 손상이 오는 경우를 망막장애라고 한다.
그런데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이날 발표한 2008년부터 2012년까지‘망막장애(H30-H36)’로 인한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망막장애 질환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2008년 54만명에서 2012년 86만명으로 연평균 12.2%씩 증가하고 있었다.
이를 2012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60대(22만 7천명, 26.5%)가 가장 많았고, 70대(19만 4천명, 22.6%), 50대(18만 8천명, 21.9%) 순(順)으로 나타났으며, 수술인원은 60대(2만 4천명, 24.2%)가 가장 많았고, 50대(2만 1천명, 21.5%), 70대(1만 7천명, 17.5%) 순(順)으로 나타났다
특히 혈압, 당뇨 등 질환 관련 망막장애(H35~H36)는 2012년 전체환자 76만명 중 40세 이상 68만명(89%)으로 40대 이상에서 빈발하고 있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정은지 교수는 60대이상에서 망막장애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하여 “노인층에서 많이 발병하는 고혈압, 당뇨와 망막장애질환이 무관하지 않다“면서 “고혈압은 노인성 황반변성 및 망막혈관폐쇄의 공통적인 위험인자이므로 혈압을 잘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뇨망막병증은 실명을 초래하는 대표적인 망막질환이므로 당뇨환자의 경우 망막병증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당 조절을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하였다.
이어 “망막정맥폐쇄와 같은 혈관질환 및 황반원공, 망막전막도 고령층에서 많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시력저하를 유발하는 대부분의 망막질환도 노령인구 발생빈도가 높다”고 덧붙였다.
<이미지제공=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