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머니투데이DB |
1일 사람인이 직장인 263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직장인 가운데 44.3%는 근로자의 날에도 출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별로는 ‘중소기업’(48.9%) ‘중견기업’(38.5%) ‘대기업’(29.3%) 순으로 근무비율이 높았다. 중소기업 직장인 2명 중 1명은 여느 때와 다름없는 일상을 보내고 있는 셈.
근무 이유로는 ′회사의 방침이라서′(58.4%, 복수응답)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어 ′업무 특성상 쉴 수 없어서′(29.6%), ′업무가 많아서′(10.9%), ′상사가 출근한다고 해서′(9.5%), ′거래처가 쉬지 않아서′(7.5%)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노동환경에 근로자들의 불만이 팽배해져 있다.
근로자의 날에도 근무하는 기업에 대해 직장인 절반 이상(56.8%)은 "직원에 대한 배려와 복지 수준이 떨어져 보인다"고 답했다. 이밖에 최고경영자(CEO)의 마인드가 부족해 보인다(24.6%)거나 어쩔수 없어 이해된다(12.9%)는 답변도 있었다.
한편 근로자의 날 근무로 인해 직장인들은 ′업무 의욕 상실′(60%, 복수응답), ′퇴사 및 이직 충동′(40.8%), ′애사심 감소′(39.8%), ′상대적 박탈감′(38.1%)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