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목과 거북목 증후군, 젊은 층에서 다발‥ 치료와 예방법은?
근 직장인을 비롯한 10, 20대 학생들에서 잘못된 자세와 생활습관으로 인해 거북목증후군이라 불리는 ‘일자목’ 증상을 호소하는 이들이 크게 늘고 있다.
일자목은 정상적인 경추의 형태인 C형 구조가 틀어지면서 1자 형태, 혹은 역C자 형태가 된 것을 말하고, 거북목은 일자목에서 머리의 중심이 앞으로 나가게 되면서 거북이 목처럼 목 근육이 저절로 과긴장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일자목이나 거북목 증상이 나타나면 경추에 연결되어 있는 근육, 신경, 혈관에 긴장을 주는 것은 물론이고, 목의 디스크 손상을 가져올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정형외과 및 신경외과 전문의들은 만일 만성 뒷목 통증이나 두통, 어깨통증, 눈이 뻑뻑한 증상이나 손의 저림 등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면 일자목 증후군을 의심해 보고 제대로 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입을 모은다.


여의도역 정형외과 다통한병원 박진삼 원장은 “일자목은 목이 두상을 움직이면서 받게 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외부에서 충격이 전달될 경우 그대로 척추와 머리로 전달되기 때문에 상당히 위험하다”며, “증상이 있다고 여겨지면 악화되기 전에 서둘러 병원을 방문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지적했다.

일자목, 비수술적 치료로도 해결 가능

일자목이나 거북목 증후군은 초기에 발생하는 다양한 증상들에 대해서는 굳이 수술적인 치료를 받지 않아도 개인에게 맞는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빠르게 개선될 수 있다.


대표적인 것이 척추 골반교정법과 롤핑 요법으로 신체 균형을 바로잡고 굽어 있는 척추 마디를 자극해 통증을 해소하는 방식이다. 또 추나요법 및 카이로프랙틱 또한 일자목을 본래 상태로 되돌리는 데 효과적일 수 있으며, '체외충격파 치료'를 통해 근막동통 및 연부조직을 재생하는 치료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일자목 예방법

한편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바른 자세와 스트레칭을 자주 실시함으로써 일자목 증상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다.

박진삼 원장은 일자목 예방법으로 우선 자신에게 맞는 높이의 책상과 의자 사용을 권장했고, 다음으로 의자에 앉을 때는 등받이에 엉덩이와 척추를 밀착 시킬 것을 요구했다. 또 모니터의 높이를 눈높이에 맞추도록 위치 조정을 하는 것이 좋고, 업무 중에는 1시간 마다 목 스트레칭을 권장했다.

또한 야외 활동을 하기 전에는 목 주변 근육과 인대의 긴장을 풀어주는 것이 좋고, 운동 후 통증이 느껴진다면 안정을 취하고 의식적으로 자세를 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도움말, 이미지제공=다통한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