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14일) 프란치스코 교황이 한국을 찾았다. 이는 25년 만에 다시 찾은 교황의 발길이다.

교황은 16일 서울 광화문에서 시복식을 가질 예정, 이에 시복식 및 미사에 1백만명이 참여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한편 광화문 인근 인사동에 위치한 트릭아트 전시 ‘박물관은 살아있다’는 14일 교황 내한을 기념해 가톨릭 성경 관련 미술 작품을 트릭아트로 재창작한 작품을 소개했다.

▲트릭아트 전시 ‘박물관은 살아있다’ 측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내한을 기념해 14일 가톨릭 관련 작품의 체험사진을 공개했다. 서울 인사동 ‘박물관은 살아있다’ 쌈지점에 전시된 <막달라 마리아> 작품에서 관람객이 익살스러운 표정으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트릭아트 전시 ‘박물관은 살아있다’ 측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내한을 기념해 14일 가톨릭 관련 작품의 체험사진을 공개했다. 서울 인사동 ‘박물관은 살아있다’ 쌈지점에 전시된 <막달라 마리아> 작품에서 관람객이 익살스러운 표정으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막달라마리아
막달라 마리아는 신약성서에 등장하는 여성으로 부활한 그리스도와 가장 먼저 만난 인물로 여겨진다. 그림 속 해골은 보통 허무, 죽음, 참회를 뜻하며 이는 곧 참회 중인 막달라마리아를 상징한다.

▲트릭아트 전시 ‘박물관은 살아있다’ 측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내한을 기념해 14일 가톨릭 관련 작품의 체험사진을 공개했다. 종교가 가진 삶과 죽음에 대한 철학적인 의미를 담은 작품 <평안하시길>
▲트릭아트 전시 ‘박물관은 살아있다’ 측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내한을 기념해 14일 가톨릭 관련 작품의 체험사진을 공개했다. 종교가 가진 삶과 죽음에 대한 철학적인 의미를 담은 작품 <평안하시길>
평안하시길
서울 ‘박물관은 살아았다’ 인사본점에 전시 중인 작품 <평안하시길>은 종교가 가진 삶과 죽음에 대한 철학적인 의미를 담은 작품이다. 작품의도는 관람객으로 하여금 삶과 죽음에 대해 생각해보고 앞으로 세상과 어떻게 이별을 준비할지 되돌아보게 하는 것이다.

▲트릭아트 전시 ‘박물관은 살아있다’ 측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내한을 기념해 14일 가톨릭 관련 작품의 체험사진을 공개했다. 서울 ‘박물관은 살아았다’ 인사본점에 전시 중인 작품 <천지창조> 앞에서 관람객이 익살스러운 포즈로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트릭아트 전시 ‘박물관은 살아있다’ 측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내한을 기념해 14일 가톨릭 관련 작품의 체험사진을 공개했다. 서울 ‘박물관은 살아았다’ 인사본점에 전시 중인 작품 <천지창조> 앞에서 관람객이 익살스러운 포즈로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 천지창조
<천지창조> 작품은 미켈란젤로가 로마의 시스티나 성당 천장에 그린 세계최대의 벽화 중 하나로, 실제 작품은 천장화라는 물리적인 어려움, 노화에 의한 보수로 인해 관람이 어려워 실제 작품을 축소하여 전시했다는 것만으로도 의의가 있다. 

트릭아트라는 특징을 살려 작품 속 아담에게 단팥빵을 배치하는 패러디를 선보였다. 관람객은 빵을 잡는 절묘한 몸짓을 통해 다소 엄숙하고 딱딱할 수 있는 원작을 좀 더 재밌게 재해석하여 즐길 수 있다.

▲트릭아트 전시 ‘박물관은 살아있다’ 측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내한을 기념해 14일 가톨릭 관련 작품의 체험사진을 공개했다. 어머니의 모성애를 느낄 수 있는 작품 <뼈 속까지 사랑>
▲트릭아트 전시 ‘박물관은 살아있다’ 측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내한을 기념해 14일 가톨릭 관련 작품의 체험사진을 공개했다. 어머니의 모성애를 느낄 수 있는 작품 <뼈 속까지 사랑>
▶ 뼈 속까지 사랑
박물관은 살아았다’ 인사본점에 전시 중인 <뼈 속까지 사랑>은 어머니의 모성애를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아날로그와 미디어의 원리를 응용하여 스위치 ON/OFF를 이용한 오브제 작품이다.
<이미지제공=박물관은 살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