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튜브 서비스 중단 /사진=유튜브 제공 |
‘유튜브 서비스 중단’
MBC·SBS·CJ E&M는 1일부터, 종편 4사는 오는 8일부터 동영상 콘텐츠를 국내 유튜브 사이트에 노출시키지 않기로 결정했다.
지난달 30일 이들 7개 방송사업자는 신규 TV프로그램의 한국 내 유튜브 서비스를 전면 중단하기로 했다.
방송업계에 따르면 지금까지 콘텐츠 제작사인 방송사와 유튜브는 동영상으로 벌어들인 광고수익을 55대 45로 배분해왔다. 수익은 유튜브 측에서 비용 명목으로 가져간 광고매출액 30~40%를 제하고 남은 것이다. 결과적으로 방송사의 몫은 전체 매출액의 30%대인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이에 7개 방송사는 6월 온라인 광고대행사인 '스마트미디어렙(SMR)'을 공동 설립하고 유튜브 등 유통 플랫폼 회사들과 수익배분 구조 개선을 위한 협상을 벌여왔지만 유튜브 측과의 합의가 무산되자 방송사들이 IP차단에 나선 것이다.
반면 국내 최대 인터넷 포털인 네이버는 SMR와 지난달 계약에 성공해 이달 초부터 7개 방송사 콘텐츠를 서비스하고 있다. 광고영업권을 SMR가 갖고 유통플랫폼을 제공하는 네이버는 총 광고 매출액의 10%를 가져가는 조건이다. 다음카카오도 이와 비슷한 조건으로 조만간 SMR와 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