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두환(왼쪽)·노태우 전 대통령 근황 /사진=머니투데이DB |
‘1212사태’ ‘전두환 근황’
전두환 전 대통령이 일으킨 군사 쿠데타 ‘12·12사태’가 일어난 지 오늘로 35년이 되며 중심인물인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의 근황에 궁금증이 일고 있다.
12·12사태는 1979년 12월12일 당시 합동수사본부장이었던 전두환 전 대통령이 이끄는 군내 사조직 ‘하나회’ 중심의 신군부 세력이 일으킨 군사 쿠데타다.
그 시작은 10월26일 박정희 전 대통령이 총격당한 후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이 계엄 사령관에 취임해 군내 주요 지휘관을 교체하는 등의 개혁을 벌인 것에서 비롯됐다.
정 참모총장의 행보에 불만을 품은 전두환 합동수사본부장은 35년 전 이날 최규하 대통령의 재가없이 독단적으로 신군부 세력을 이끌고 정 참모총장을 강제 연행했다.
정병주, 장태완 사령관 등은 전 사령관의 하극상에 격분해 신군부에 끝까지 저항했지만 최규하 대통령이 다음 날 새벽 5시쯤 정 총장 연행을 사후 승인함으로써 신군부에 체포됐다.
군권을 장악한 신군부 세력은 다음날 새벽 6시20분까지 육군본부·국방부·중앙청·경복궁 등 핵심 거점을 차례로 점령하고 방송국과 신문사를 통제 하에 뒀다. 결국 1980년 5월17일 비상계엄 전국 확대를 계기로 국가 권력을 탈취함으로써 쿠데타를 완수해냈다.
쿠데타를 성공으로 이끈 신군부는 정치군인을 배척하고 내부비리를 척결하자는 대의명분이 무색하게도 육군참모총장 겸 계엄사령관에 이희성 중장, 수도경비사령관에 노태우 소장, 특전사령관에 정호용 소장 등을 앉히며 군 요직을 독점하다시피 장악했다.
12·12사태 진상은 그 후 10여년 간 밝혀지지 못한 채 권력에 의해 은폐됐다가 김영삼 정부 아래 쿠데타의 주역인 전두환·노태우 두 사람이 구속되고 사법적 심판을 받는 과정에서 '하극상에 의한 군사쿠데타'라는 역사적 평가를 받게됐다.
한편 올해 83세인 전두환 전 대통령의 경우 최근 건강한 모습으로 공식석상에 모습을 드러낸 바 있다. 그는 지난 5월 숨진 이학봉 전 안기부 차장의 빈소를 찾았다. 당시 그는 건강한 안색으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해 정정함을 과시했지만 아직 미납추징금이 남았다.
서울중앙지검 전두환 미납추징금 특별환수팀(팀장 노정환 부장검사)은 지난 10월까지 전두환 전 대통령이 1997년 대법원에서 선고받은 추징금 2205억원 중 1087억원을 징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체 추징금 규모의 49%로 현재 약 1118억원이 미납 상태다.
반면 노태우 전 대통령은 지난 2002년 전립선암 수술을 받고 10년 넘게 서울 연희동 자택에서 투병 중이다. 그는 지난해 10월 천식으로 서울대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기도 했다. 그의 나이는 올해 82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