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과 뷰티 브랜드에서 한정적으로 사용하던 예전과는 달리 팝업스토어가 식음료를 포함한 여러 브랜드의 주요 마케팅 전략으로 떠올랐다. 특히 트렌디한 젊은이들의 발걸음이 잦은 거리에는 몇 미터 간격을 두고 다양한 팝업스토어들이 앞다투어 오픈하고 있다.

팝업스토어는 매장이 없는 브랜드들이 한시적으로 매장을 운영해 소비자들이 체험할 수 있게 하거나 신제품 출시 또는 브랜드의 큰 이슈가 있을 때 집중도를 높이고 인지도를 확대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 뿐만 아니라 가로수길, 홍대 같은 트렌디한 장소에서 팝업스토어를 개최함으로써 젊고 역동적인 브랜드 이미지 재고 효과를 가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팝업스토어들이 최근 우후죽순으로 생겨나 소비자들의 반응 또한 예전만큼 폭발적이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이에 따라 브랜드들은 팝업스토어를 한 번의 이슈를 위한 시도가 아닌 장기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사용하며 새로운 시도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기존의 장점 이외에 지속적인 브랜드 체험의 기회와 차별성을 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전략적인 팝업스토어 마케팅으로 소비자 공략나서..

◇ 맥주 마니아의 성지로 인정 받은 필스너우르켈 팝업스토어!

황금빛 맥주인 필스너우르켈은 지난 3월-5월 이태원에 첫 번째 팝업스토어를 열었고 맥주의 성지라는 별명을 얻으며 성공적으로 마무리 했다.
필스너우르켈은 첫 번째 팝업스토어의 성공에 힘 입어 지난 7월부터 한 달 동안 부산 해운대에 두 번째 팝업스토어를 진행하기도 했다.

필스너우르켈 관계자에 따르면 팝업스토어를 진행한 이후 해당 지역에서의 인지도가 급성장했다. 서울은 3배 부산은 5배에 가까운 성장률을 보였으며 매출 또한 전년도 동기간 대비 80%의 성장을 이뤘다.

필스너우르켈은 ‘172년 역사, 필스너우르켈의 장인정신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이 담긴 새로운 팝업스토어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메시지를 전달했고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내 팝업스토어의 효과를 톡톡히 증명했다.

필스너우르켈 관계자는 ‘팝업스토어는 고객을 현장 접점에서 만나는 자리인만큼, 무엇보다 제품력에 자신이 있는 경우 높은 고객체험 만족도가 긍정적인 입소문 효과를 끌어낼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지속해 볼만한 전략이다’라며 팝업스토어 전략에 대해 설명했다.

◇ 그 곳에 가면 맛집이 있다, 고메이494 팝업스토어!

갤러리아명품관 식품관인, 고메이494는 오픈 이후 현재까지 한식을 포함해 양식, 디저트까지 다양한 카테고리의 팝업스토어 26곳을 진행했다.

팝업스토어는 짧은 시간 동안 오픈했다가 사라지는 매장을 의미하지만, 고메이494의 팝업스토어는 다양한 브랜드를 차례로 소개하며 1년 365일 오픈 되어있는 상설 팝업스토어의 형식을 띄고 있다.

고메이494 팝업스토어는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팝업스토어로 소비자들에게 식상하지 않으면서도 언제나 즐길 수 있는 새로운 공간을 제공한다.

‘마약 옥수수’로 현재 화제가 되고 있는 ‘로코스BBQ’나 ‘치즈케익 팩토리’처럼 국내외에서 큰 관심을 몰고 있는 F&B 브랜드를 차례로 유치해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까지 이태원의 유명 레스토랑인 ‘랍스터바’ 팝업스토어를 진행했을 때에도 일 평균 500만원 이상의 높은 매출을 올리며 본점보다 높은 매출을 기록했다.

이러한 브랜드 외에도 고메이494 팝업스토어에서 진행한 브랜드 모두 높은 매출을 기록하며 신진 쉐프들에게 맛집 인증 무대로 통하며 긍정적인 평을 이끌어내고 있다.

상식을 깨는 편의점 팝업스토어, CU(씨유)!

편의점 팝업스토어라고 하면 다들 한 번씩은 의문을 갖게 된다. 편의점이라 하면 상권이 형성되있는 건물 안에 입점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팝업스토어는 유동인구가 많은 트렌디한 지역에 오픈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CU편의점은 이러한 편견을 깨고 상권이 활성화되고 있는 지역의 나대지에 컨테이너 건축물을 설치해 팝업스토어를 진행한다.

상권이 활성화 되고 있다고는 하지만 나대지에 팝업스토어를 대체 왜? 이런 반문이 들 수도 있지만 이러한 팝업스토어를 통해 잠재력이 높은 주요 상권을 사전에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 기간 매출 검증을 통해 수익성 시험이 가능하다.

또한, 근린시설이 부족한 지역의 소비자들에게 찾아가는 서비스로 편익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신뢰와 이미지 재고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주변 상권을 확대하는 역할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