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상수지 /자료사진=머니투데이DB |
‘경상수지’
우리나라의 내년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1000억 달러를 넘어서 세계 5위 수준으로 도약할 전망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저유가와 내수 부진으로 인해 수입이 수출보다 더 큰 폭으로 감소해 나타나는 불황형 흑자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31일 국회 예산정책처가 내놓은 '2015년 수정 경제전망'에 따르면 내년 한국의 경상수지는 저유가와 수입 추세 둔화로 인해 1087억달러의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 수치는 올해 전망치인 840억 달러를 훨씬 뛰어넘는 규모다. 지난 11월까지 우리나라의 누적 흑자는 819억 달러다.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이 본격적으로 미친 지난 11월 한 달간 경상수지 흑자는 114억 달러를 기록한 바 있다.
경상수지 흑자가 1000억 달러를 넘는 나라는 흔치않다. 지난해 기준으로 독일의 경상수지 흑자가 2549억달러로 가장 많고 중국(1828억달러), 사우디아라비아(1326억달러), 스위스(1039억달러)가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는 네덜란드(871억달러)에 이어 경상 흑자 6위 국가다.
예정처는 내수 부진으로 수입 증가율이 둔화하고 국제 유가가 떨어지는 것이 대규모 경상 흑자의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예정처는 통관기준으로 내년 수출이 2.9%, 수입은 0.1% 각각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경상수지 흑자는 수출이 수입보다 많을 때 나타난다. 하지만 저유가와 내수 부진으로 인해 수입의 감소폭이 커질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수출이 늘어 흑자가 발생한다.
이를 ‘불황형 흑자’라고 일컫는데 일각에서는 내년도 경상수지 흑자도 ‘불황형’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LG경제연구원 측은 "저유가도 경상 흑자 확대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투자·소비가 좋지 않아 수입이 감소하는 이유가 더 크다"고 말했다.
유승선 예정처 경제분석관은 "내년 평균 유가를 배럴당 75달러로 전망하고 있는데, 이보다 더 내려갈 수 있다"며 "원·달러 환율도 애초 예상했던 것보다 오르고 있어 경상 흑자를 키우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