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동 골목에 있는 골동품점 '토토의 오래된 물건'은 시간은 흘렀지만 여전히 정감 가는 물품들을 모아놓은 아날로그 공간이다. 로봇 태권브이 등 어린시절 유명 만화영화 속 주인공의 피규어가 가득하고, 딱지와 공기 등 부모세대들이 어렸을 때 가지고 놀았던 놀이용품들도 많다. 단종된 다이얼식 전화기, 흑백TV 등 7~80년대 잡동사니도 만나볼 수 있다.
또 테마파크 '박물관은 살아있다'에서는 한국사를 다룬 다양한 눈속임(트릭)아트를 만날 수 있다. 2층으로 구성된 트릭아트 전시장 중 미로존에 위치한 '한국존'은 6~70년대 서민들의 생활공간을 판타지를 더해 재현한 곳이다.
![]() |
▲넉넉하지 못했던 나의 어린 시절ⓒ박물관은 살아있다 |
평소 박물관은살아있다는 10~20대 관람객이 많은 편이었으나 최근에는 중년층들이 자녀들과 함께 찾아 한국존에서 기념촬영을 많이 한다는 후문.
성동구 마장동에 위치한 판잣집 테마촌에서는 60년대 판자촌을 경험할 수 있다. 청계천변을 따라 두 평 남짓한 방들이 다닥다닥 붙어있어 어려웠던 생활상을 되돌아볼 수 있는 판자촌을 실감나게 표현했다. 판잣집 테마촌에서는 그 시절 교실과 다방도 체험할 수 있다. 교실에서는 교련복을 입고 사진촬영을 할 수 있고, 다방에서는 달고나 등의 간식도 구매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