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프랜차이즈 시장..‘트렌드 키워드’ 를 읽어라 (1)
2015년도 창업시장은 지난해 터진 세월호 사태, 내수부진으로 인한 민간소비 침체 여파로 창업시장의 축소, 즉 프랜차이즈 시장의 위축으로 연결될 전망이 우세하다.
프랜차이즈 시장은 지난해 발효된 가맹사업법 개정에 따른 ‘영업지역 설정 및 예상매출액 제공’, ‘부당한 영업지역 침해’ 등은 프랜차이즈 시스템이 잘 갖춰진 본부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잣대로 작용 하였으며, 이는 올 해에도 프랜차이즈 산업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또 한 가지, 프랜차이즈 시장의 업종별 현황을 살펴보면, 도소매, 서비스업의 경우 막대한 자금이 들어가는 장치산업, 투자 산업이기 때문에 프랜차이즈 본부 설립자들이 외식업으로 몰리게 됨으로써, 가맹점 역시 외식업으로의 과다한 쏠림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프랜차이즈 본사 구축 컨설팅 기업인 맥세스컨설팅(www.maxcess.co.kr 대표 서민교)에서는 정글의 법칙을 방불케 하는 프랜차이즈 시장에서의 생존 경영 전략 및 2015년을 이끌어갈 트렌드 및 유망 산업을 살펴보고자 한다.
☞ 다음호 예고
01. 2015년 프랜차이즈 시장 8대 트렌드 분석
02. 2015년 프랜차이즈 생존 경영 전략 발표
![]() |
◇ 카테고리 킬(Category Kill)형 업태 개발 각광 받을 것
지난해 국내 프랜차이즈 기업의 존속 년 수는 평균 9.4년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의 존속 년 수는 기업의 경우보다 짧은 평균 7.8년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지난해 프랜차이즈 전체 폐점 브랜드 수는 총188개로 나타났다. 이 중 71.3%인 외식 브랜드의 폐점 수가 134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서비스업 브랜드의 폐점 수는 35개(18.6%), 도소매업 브랜드의 폐점 수는 19개(10.1%)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프랜차이즈 산업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외식 브랜드의 경쟁강도가 그 만큼 높으며, 영세 창업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부분에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외식업종이 장치산업, 투자 산업이기 때문에 진출의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프랜차이즈 본사들은 카테고리 킬 형(Category Kill) 업태 개발을 통한 업종 세분화가 필요하다.
즉, 백화점 등과 달리 상품 분야별로 전문 매장을 특화해 상품을 판매하는 완구용품, 스포츠용품, 아동의류 등과 같이 분야별 여러 곳에 특화된 전문 매장을 갖추고 이를 집중적으로 판매 하는 방법이다. 국내 도너츠 전문 프랜차이즈 브랜드 정도너츠, ABC 마트 등은 카테고리 킬형 업태 개발의 좋은 사례라 할 수 있다.
◇ 토탈 코디(Total Coordi)형 업태 개발로 소비자 니즈 증대
국민소득과 구매형태 변화에 따른 소비자 니즈 변화를 파악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소비자가 상품 구입을 모두 한 군데서 마치는 원 스톱 쇼핑(One stop shopping)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더욱이 쇼핑 기능에 레저 기능을 더해 원 스톱 플레잉(One stop playing) 시대에 맞는 다양한 채널이 등장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할 것이다.
◇ 당신을 위한 서비스, 당신만을 위한 서비스, ‘퍼스널 서비스’가 각광 받을 것
현 사회는 급속한 변화의 속도를 경험하고 있다. 그 변화 한가운데서 개개인의 개성을 찾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이미 ‘개성’을 표현하는 것은 중요한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예를 들어 일하는 여성이나 남성에게 복장은 단순하게 센스가 좋다는 수준의 이미가 아니라 개성을 표한하는 절대적인 조건으로 자리 잡았다.
이에 따라 개인의 ‘개성’을 표현하도록 ‘당신을 위한 서비스’, ‘당신만을 위한 서비스’ 등의 ‘퍼스털 서비스’가 각광받고 있으며, 소비자의 고민을 들어주기 위한 ‘토털 코디네이터(Total Coordinate)’가 생겨나는 현상까지 나타나게 되었다.
◇ 이종간, 동종 업종 간 콜라보레이션 트렌드 주도 할 것
프랜차이즈 기업 역량 강화를 위해 기존 업종의 틀을 깨고 새로운 업태개발로 비즈니스 모델을 장착한 브랜드가 주목을 받을 것이다.
콜라보레이션 콘셉트의 브랜드 조합은 다양하다. 이를 살펴보면 외식 브랜드끼리의 결합, 외식 브랜드와 주점형 브랜드의 결합, 간식형 브랜드와 식당형 브랜드의 결합, 외식와 도소매의 이종간 브랜드의 결합 등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다.
이런 결합형태의 특징을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해보면, 하나는 고객이 뜸한 시간대의 매출을 끌어올리기 위해 특정시간대에 매출파워가 강한 매출 보완형 브랜드로 결합시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기존 콘셉트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객의 유입률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경쟁력 강화형 브랜드로 결합시키는 것이다.
☞ 프랜차이즈 판매방식 늘어난다..새로운 소비트랜드 이끌어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