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과거 사업실패로 인한 ‘신용불량자’라는 기록 때문에 재창업지원기업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정부 지원사업에서 매번 탈락했죠. 그러다보니 재창업을 했지만 회사가 궤도에 오르려는 단계에서 멈춰버렸고요. 그러던 중 규제가 개선된 겁니다. 그 덕분에 해외규격인증 획득지원, 수출역량 강화지원,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할 수 있게 됐어요. 이것이 재기의 발판이 돼 매출이 무려 5배나 뛰었습니다.” (㈜팔콘 박동권 대표)

#2. “중소기업은 자금이 가장 큰 애로사항입니다. 융자 자체도 지원받는 게 쉬운 일이 아니지만 융자지원이 된다 해도 대부분 단기 대출이어서 자금운용이 어렵기는 매한가지죠. 그런데 이번에 이 같은 문제가 해결돼 그야말로 숨통이 트였어요. 기술사업성 우수기업전용자금의 경우 대출기간이 최장 15년이나 되기 때문에 사업장을 새롭게 구축하고 자금운용도 안정적으로 이뤄져 경영기반이 단단해졌습니다.” (㈜부강테크 유대환 대표)


 

/사진=머니위크 DB
/사진=머니위크 DB

중소기업을 이끄는 오너는 해가 바뀌면 챙겨야 할 것이 많다. 올해부터 새롭게 마련되는 중소기업 지원제도와 달라진 부분을 꼼꼼히 챙기지 않으면 본인만 손해다. 중소기업청의 도움을 받아 2015년 눈에 띄는 ‘중소기업 지원시책’을 알아봤다.

지원 분야는 ▲창업·재기·사업전환 ▲금융 ▲기술개발 ▲인력 ▲소상공인·전통시장 ▲여성·장애인으로 나누고 주요 사례별 내용을 Q&A 형태로 정리했다.

Q. 상품화가 가능한 사업아이디어가 있어 창업을 준비 중이다. 정부에서 지원하는 제도가 있나.

A. 상용화 기술을 보유하고 창업에 뜻이 있는 사람을 위해 중소기업청에서는 ‘창업 맞춤형 사업화 지원사업’을 마련, 창업준비를 돕는다. 지난해와 달리 사업특성별 통합과 창업기업 성장지원프로그램이 확대됐다. 지원내용은 대학·공공기관 등 창업지원 인프라를 활용해 창업아이템의 사업화를 지원하고 시제품 제작비, 마케팅비, 창업준비활동비 등에 소요되는 사업비를 전체 경비의 70% 범위 내에서 최대 5000만원까지 지원한다. 단 중기청에서 시행하는 ‘창업지원사업’ 간 중복수혜는 불가하다.

Q. 올해 가정용 세제를 개발해 특허를 받고 미국 식약청 산하 연구기관에서 제품의 안전성과 성능을 인정받았다. 그런데 제품 생산과 마케팅비용이 턱없이 부족하다. 방법이 없나.

A. 특허기술이 있으니 중기청에서 지원하는 ‘개발기술 사업화자금’을 신청하면 된다. 개발제품 사업화에 소요되는 생산설비 및 기계구입 등을 위한 시설자금과 원자재 구입, 홍보 및 마케팅비용 등을 지원하는 제도다. 자체 기술을 사업화하는 기업은 조건에 따라 지원할 수 있으나 최근 3년 이내 개발기술사업화자금을 2회 이상 지원받은 기업은 혜택을 받을 수 없다.

Q. 산업용 케이블을 개발하는 기업이다. 제품 신뢰성에 자주 문제가 발생해 전문연구기관의 도움을 받고자 하는데 이런 경우도 지원받을 수 있나.

A. 산학연 협력기술개발사업을 이용하면 된다. 첫 걸음기술개발의 경우 정부 연구개발(R&D)에 처음 참여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중기청과 지자체가 매칭 펀드형식으로 지원하며 1억원 한도 내에서 75%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도약기술개발은 혁신역량 부족, 성장 정체기업 등에 대해 1년간 1억원 한도 내에서 연구개발비의 75%까지 지원한다.

Q. 자동차·선박부품 등의 주철을 제조하는 소기업이다. 주문물량은 느는데 계속 사람을 뽑자니 애로가 많아 생산공정 개선을 통해 인력문제를 해소하고 싶다.

A. 제품·공정개선 기술개발사업에 신청하면 된다. 이 사업은 R&D 역량이 부족한 50인 미만 소기업의 현장수요가 많은 제품·공정개선 분야를 과제당 5000만원 한도로 총사업비의 75%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Q. 8년째 동네미용실을 운영 중이다. 주변 100m 이내에 미용실이 10개나 돼 단골손님을 뺏기는 상황인데 경쟁력 있는 점포로 거듭나고 싶다.

A. 장사가 잘 되는 점포로 변신하도록 도와주는 ‘소상공인 경영교육’ 프로그램이 있다. 8~20시간 내외의 업종전문교육과 지역특화교육과정 등을 운영한다.

Q. 치킨점을 운영하는데 처음 오픈했을 때와 달리 요즘에는 많이 힘들다. 만약 문을 닫기라도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다.

A. 자영업자가 폐업이나 노령 등으로 인한 생계위협에 대비하도록 ‘소상공인공제제도’가 운영 중이다. 1~5만원 단위로 10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으며 연 복리이자율이 적용된다.

Q. 장사를 하고 있는 전통시장의 시설이 너무 낡아 방문객이 점점 줄어든다. 시설을 개선하고 싶지만 상인들의 힘만으로는 어렵다. 도움을 받을 수 있나.

A. 정부와 지자체가 전통시장 등에 주차장, 공동화장실, 아케이드, 고객지원센터 등 고객편의시설 설치와 개선을 지원한다. 다만 아케이드 등 일부시설에 대해서는 사업비의 10% 이내에서 민간이 부담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Q. 전업주부인데 취미로 퀼트를 시작했다. 주변에서 판매하라는 요청이 많아 하나둘 팔다보니 매장이 있어야 할 듯하다. 저렴하게 매장을 확보할 방안이 있을까.

A. 중소기업유통센터에서 운영하는 ‘여성기업 제품전용관’을 활용하면 된다. 예컨대 서울 동대문 두산타워쇼핑몰(10평) 내 관련 매장이 있는데 이곳을 이용하면 매장관리비, 인테리어 등 시설투자비를 국가가 부담하고 인건비 일부까지 보조받을 수 있어 저렴하게 입점이 가능하다.

Q. 청각장애인인데 작은 국수공장을 운영한다. 국내에서는 매출이 어느 정도 궤도에 올라 동남아시장으로 진출할 생각인데 지원받을 수 있나.

A. 우수 장애인기업을 발굴해 국내외 전시회를 지원한다. 해외전시회의 경우 500만원 한도 내에서 지원한다. 산업재산권 출원과 홍보 브로슈어, 제품 카탈로그 제작 등 홍보도 추가로 지원한다.

알아두면 좋은 제도

◈이노비즈 제도 : 기술경쟁력과 미래 성장가능성을 갖춘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을 발굴, 자금·기술·판로 등 정부의 지원시책 연계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혁신기업으로 육성하는 제도.

◈우수그린비즈 선정 제도 : 중소기업의 지속적인 녹색경영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혁신적으로 녹색경영을 추진하는 중소기업을 선정, 자금·기술·판로 등을 연계 지원하는 제도.

◈중견기업 확인제도 : 신청기업이 중견기업임을 공식적으로 확인함으로써 해당 기업이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지원정책에 원활하게 참여하도록 돕는 제도.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372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