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사진=머니투데이DB |
전세대란으로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하는 가구가 늘고 있는 가운데 서울 전월세 전환율이 2011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6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지역별·유형별 전월세전환율 조사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서울에 있는 주택의 평균 전월세전환율은 전달보다 0.1%포인트 낮아진 6.8%로 2011년 조사가 시행된 이후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를 처음 시작한 2011년 6월 8.6%에 비하면 1.8%포인트 낮아졌다.
전월세전환율은 보증금을 월세로 바꿀 때 적용하는 비율로 이 수치가 낮다는 건 상대적으로 월세 부담이 적다는 의미다. 연간 임대료를 전세금과 월세보증금 간 금액 차이를 나누면 된다.
집주인은 요구수익률을, 세입자는 전월세 선택이나 월세 계약 시 기회비용을 계산하는 지표로 쓰인다. 이번 조사는 올 1월 신고 기준 실거래정보를 활용해 산정됐다. 서울은 세종시와 함께 전국에서 전월세전환율이 가장 낮은 곳으로 집계됐다.
특히 아파트의 경우 전월세전환율은 5.5%로 전체 평균보다 낮았는데 강남권역이 5.3%로 강북권역(5.6%)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송파구의 경우 4.6%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주택의 평균치는 7.7%로 전달대비 보합세를 보였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가 6%로 가장 낮았으며 연립다세대(8.1%), 단독주택(9.1%)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