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홍준표 무상급식 중단’ /사진=뉴스1 |
‘홍준표 무상급식 중단’
홍준표 경남도지사가 다음달부터 무상급식을 중단한다고 밝힌 이후, 경남도 교육청이 이를 비판하고 나섰다.
경상남도는 지난 9일 기자회견을 갖고 다음 달 1일부터 경남지역 초·중·고교 무상급식을 폐지한다고 설명했다. 대신 ‘서민자녀 교육지원 사업’에 투자하겠다는 것이다.
경남도가 이날 발표한 서민자녀 교육지원 사업은 바우처사업(418억원), 맞춤형 교육(159억원), 교육여건 개선(66억원) 등 세 종류로 나뉜다. 바우처사업은 EBS 교재비와 수강료, 온라인·보충학습 수강권, 학습교재 지원 등이다.
지원 대상은 소득인정액 기준 최저생계비 250% 이하면서 초·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가정으로 4인 가구 기준으로 실제 월 소득이 250만원 정도다.
경남도는 “저소득층을 포함한 서민 자녀에게 꿈을 심어주고 신분 상승을 위한 희망의 사다리 역할을 할 것”이라는 꿈을 품고 있다.
이와 반대로 박종훈 경남도교육감은 10일 교육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남도가 올해 무상급식 지원 예산으로 편성했던 643억원 전액이 서민지원사업이라는 졸속적인 사업으로 둔갑해 발표되는 과정을 지켜보며 참담한 심정"이라며 "이 사업은 결코 성공할 수 없다"고 비난했다.
박 교육감은 "이 사업으로 사실상 무상급식 지원은 무산된 것이며 그동안 전 도민과 저의 노력은 물거품이 되어 버렸다"며 "경남도에서 학생들을 위해 교육복지사업을 확대하겠다는 것을 마다할 리는 없다. 그러나 무상급식 지원 예산을 고스란히 이 사업에 편성하고, 교육청이나 학교를 철저히 배제한 추진 과정에 동의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첫 단추가 잘못 끼워진 사업을 교육감이 바라만 보는 것은 학부모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경남도와 교육청의 줄다리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당장 다음달부터 무상급식 중단에 따른 학부모의 민원 증폭이 예상되는 만큼 서민 자녀 교육지원 사업 시행 시점도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교육청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