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소아변비의 위험성과 어린이 장 건강 관리 비법이 화제를 모으면서 자녀를 둔 부모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진료 통계에 따르면 전체 변비 환자 59만9000명 중 9세 이하의 어린이가 무려 25%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들이 앓게 되는 소아변비는 설사와 함께 아이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소화기 증상 중 하나로 ▲배변횟수가 주 3회 이하 ▲변실금(배변을 자신의 의지대로 조절할 수 없는 상태) 주 1회 이상 ▲직장에 변이 찼거나 복부 진찰에서 만져지는 변 ▲변기가 막힐 정도의 대량 배변 ▲변을 참는 자세나 행동 ▲배변 시 통증 등의 증상 중 2가지 이상이 8주 이상 지속되는 증상을 일컫는다.
소아의 경우 급성 변비가 많이 나타나는데 이를 질병으로 인식하지 않고 장기간 방치하면 복통과 치질, 대장염 등 각종 대장질환을 야기할 수 있으며, 성장 부진과 심리적인 장애로 번질 수 있다.
이러한 소아변비는 식습관과 심리적 압박 등으로 발생하는 장내 세균총의 불균형 때문에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배변훈련과 함께 장 운동을 촉진시키는 장 마사지를 해주는 것과 채소나 과일, 유산균을 꾸준히 섭취해 장 환경을 개선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해 쎌바이오텍 세포공학연구소의 서재구 박사는 “소아변비를 개선하는 데 있어 유산균이 잘 살 수 있는 장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이 때 유산균이 위산, 담즙산에 의해 사멸하지 않고 장에 도달, 활성화될 수 있도록 듀얼(이중)코팅된 유산균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라고 조언했다.
소아변비 개선, "유산균이 살 수 있는 장환경 조성 필요해"
강인귀 기자
3,725
2015.04.09 | 18:3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