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남기업 성완종'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율' '새누리당 지지율' /자료=리얼미터 |
'경남기업 성완종'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율' '새누리당 지지율'
성완종 전 회장 자살 파문으로 새누리당의 지지율이 하락한 반면, 동교동계와의 갈등이 봉합된 새정치민주연합의 지지율은 반등한 것으로 조사됐다.
리얼미터의 4월 2주차 주간집계에 따르면, 정당지지도에서 새누리당은 1주일 전 대비 3.4%포인트 하락한 33.8%로, 2012년 2월 3주차(32.6%)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1.8%포인트 상승한 29.6%로 다시 30%에 근접했다.
양당의 격차는 4.2포인트로 집계됐다. 정의당은 4.3%를 기록했고, 무당층은 30.9%로 조사됐다.
일간으로 보면, 새누리당의 지지율은 6일 35.3%로 시작해 자원외교 국정조사 관련 공방이 이어졌던 7일 35.2%로 하락했고, 8일 34.3%를 기록했다.
9일에는 성완종 전 회장의 자살, 정부의 세월호 특별법 시행령을 둘러싼 여야 공방, 유승민 원내대표의 국회 연설과 관련한 당내 이견 표출 등이 보도되며 32.8%로 떨어졌고, '성완종 리스트'가 공개된 10일에는 32.6%까지 하락하며 주중 최저치를 기록, 최종 주간집계를 33.8%로 마감했다.
새정치연합의 일간 지지율은 6일 24.3%로 출발, 동교동계와의 갈등이 봉합되면서 7일과 8일에는 각각 28.2%, 31.5%로 급상승하며 주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9일에는 30.2%로 소폭 하락했으나, '성완종 리스트'가 공개된 10일에 31.1%로 다시 상승, 최종 주간집계를 29.6%로 마감했다.
새누리당의 주간 지지율은 지역, 연령, 이념성향 등 모든 계층에서 하락했는데, 지역별로는 강원(14.2%포인트 하락), 대구·경북(9.1%포인트 하락), 부산·경남·울산(4.7%포인트 하락), 광주·전라(4.4%포인트 하락), 대전·충청·세종(3.1%포인트 하락) 순으로 하락폭이 컸다.
연령별로는 20대(10.2%포인트 하락), 30대(2.8%포인트 하락), 40대(2.2%포인트 하락)에서 하락폭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새정치연합의 주간 지지율은 대부분의 계층에서 상승했는데 연령별로는 20대(3.7%포인트 상승)와 30대(3.7%포인트 상승), 지역별로는 강원(11.2%포인트 상승), 광주·전라(5.0%포인트 상승), 대구·경북(2.7%포인트 상승)에서 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주간조사는 지난 6일부터 5일 동안 전국 25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전화면접(CATI) 및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무선전화(50%)와 유선전화(50%)를 병행한 전화임의걸기(RDD) 방법으로 조사됐고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 ±2.0%포인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