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변형되어 두 번째 발가락 쪽으로 휘어지면서 관절이 돌출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 증상은 발가락 관절에 골막염증으로 인한 통증이 발생하고, 발바닥과 지면의 마찰이 부자연스럽게 되는 것이 특징으로, 보행 시 발의 피로감, 굳은살, 걸음걸이의 변형 등을 초래하여 무릎이나 고관절, 골반, 척추에도 무리를 줄 수 있다.
![]() |
무지외반증, 발가락 변형부터 또 다른 통증의 원인이 될 수도...
엄지발가락의 휘어지는 각도가 심해지면 엄지발가락의 바깥쪽 돌출된 부위에 통증이 생기고, 엄지발가락이 검지발가락 밑으로 들어가 겹쳐질 정도로 변형되기도 한다. 또 통증이 심해 보행은 물론 신발을 신지 못하는 지경까지 이를 수 있다. 이 때 엄지에 힘을 주고 걷는 것이 불편해 새끼발가락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 새끼발가락까지 휘고 돌출되는 ‘소건막류’가 동반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각기 다른 족부 질환이 동시에 발병하면 발바닥과 지면의 충격흡수가 불완전해지기 때문에 충격이 고스란히 무릎이나 허리로 전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무지외반증으로 인해 다른 질환이 복합적으로 발생하게 되면 또 다른 통증의 원인이 될 수 있으니 초기에 빠르게 증상을 알아차리고 적절한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
안정성 높인 스카프절골술, 빠른 회복이 특징
심하지 않은 무지외반증 초기에는 보조기나 특수 신발로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엄지발가락의 튀어 나온 부위 통증이 심하고 오래 걷지 못하는 경우 또는 다른 질환이 동반된 경우라면 스카프절골술을 통해 발가락 모양을 바로 잡아주는 근본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스카프절골술은 수술 부위를 Z자 형태로 절골하기 때문에 절골면이 넓어 안정성이 높아 재발률이 현저하게 낮아지며, 효과적 치료가 가능하다. 또한 부분마취로 환자의 부담을 줄여 만성질환자나 고령환자도 안심하고 수술이 가능하며 다음날 바로 보행이 가능할 정도로 회복이 빠른 것이 특징이다.
고택수 원장은 “스카프절골술은 기존의 뼈를 깎아 내거나 V자로 절골하여 교정하는 방식과 달리 뼈를 깎지 않고 넓게 절골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발가락 뼈의 형태를 교정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며, “회복도 빨라 한 번에 양쪽 발을 치료할 수 있고, 부분마취로 진행되어 고령자의 경우에도 안전하게 치료가 가능하다. 다만 수술 난이도가 높고 수기가 까다롭기 때문에 반드시 숙련된 전문의에게 충분한 상담을 통해 치료 받아야 한다. ”고 설명했다.
개인에 따라 회복 기간에는 차이가 있으나 보통 수술 4주~6주 후 부터는 운동화 등 평소 신던 신발을 신을 수 있다. 무지외반증 예방을 위해서는 가급적 높은 굽의 구두나 볼이 좁고 작은 신발을 피하는 것이 좋으며 평소 넉넉한 신발을 신고 발가락을 수시로 스트레칭 해주는 것도 발 건강을 위해서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