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기사 A씨(43)는 최근 택시 앱 사용자들이 늘어나면서 근무 시간을 연장했다. 몸은 힘들었지만 수입은 늘어나 보람은 있었다. 하지만 얼마 후 엉덩이가 욱신 거리고 다리가 저려 오래 앉아 있을 수 없어 운전이 힘들어진 것. 평소 앓던 허리디스크 때문이라 생각했던 탓에 상태를 방치한 그는 결국 병원에서 ‘좌골점액낭염’이란 진단을 받고 통원 치료를 하게 됐다.

의자에 앉을 때 닿는 엉덩이 부분 골반뼈를 ‘좌골’이라고 한다. 좌골 주의에는 근육과 근육, 또는 뼈와 뼈 사이에서 윤활유 역할을 하고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점액낭이 있는데, ‘좌골점액낭염’은 이 조직에 지속적으로 압박이 가해져 염증이 생긴 질환을 말한다.

보통 척추 질환으로 골반이 틀어진 사람에게 많이 발병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지만, 오래 앉아 있는 직업을 가진 사람에게서도 발병률이 높은 편. 특히 운수업 종사자들은 장시간 앉아 운전하기 때문에 엉덩이 근육이 약한 경우가 많은데, 엉덩이 살집이 부족한 사람은 같은 시간을 앉아 있어도 보통 사람보다 일종의 쿠션 기능이 떨어져 점액낭에 더 많은 압박을 받게 되는 것이다.

동탄시티병원 신재흥 원장은 “점액낭염은 MRI같이 자세한 진찰을 하지 않으면 쉽게 진단 내리기가 어렵고 대부분 환자가 방치해서 상태를 악화시키는 경우가 많다”며 “엉덩이 근육은 단순 근육통부터 대퇴골괴사까지 다양한 질환이 발병할 수 있기 때문에 통증에 생기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좌골점액낭염이 생기면 점액낭에 생긴 염증이 골반 하부를 지나는 좌골신경을 자극해 앉을 때마다 엉덩이가 욱신거리고 배기는 통증이 있다. 허벅지 뒤쪽이 저리거나 감각이 이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디스크 질환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디스크의 경우 휴식을 취하면 통증이 사라지는 게 일반적이지만 좌골점액낭염은 앉아 있을 때 통증이 심해지고 일어서거나 걸을 때 통증이 없어 구별이 가능하다.

좌골점액낭염이 발병하면 무엇보다 앉아있는 시간을 최대한 줄이고 딱딱한 곳에 엉덩이가 닿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가장 우선이다. 푹신한 이불이나 구멍이 뚫린 도넛 모양 쿠션을 바닥에 깔아 엉덩이 바닥면에 접촉하는 면적을 줄여 통증을 줄이는 것이 좋다. 알코올은 혈액순환을 저하시켜 점액낭염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금주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