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청은 국내에서 보존처리를 완료한 미국 호놀룰루미술 소장 한국 회화 2점을 오는 22일부터 10월 11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선보인다고 밝혔다.

이번에 전시되는 작품은 16세기에 제작된 <계회도(契會圖)>와 수준 높은 <화조화(花鳥畵)> 민화 병풍 각 1점으로, 문화재청 '국외문화재 소장기관 활용 지원 사업'을 통해 국내에는 처음 공개되는 것이다.
▲계회도, 위로부터 보존처리 전,후
▲계회도, 위로부터 보존처리 전,후
특히 관료 등의 친목 도모 모임을 그린 그림 <계회도>는 2003년 호놀룰루미술관이 구입한 리처드 레인 컬렉션(Richard Lane Collection)의 하나로, 유물번호도 없이 수장고에 보관되어 있던 것을 지난해 문화재청이 파견한 전문가 실사단이 발견했다.
그림의 우측 상단에는 조선 중기 문신 윤안성(尹安性, 1542~1615년)이 1586년에 쓴 제시(題詩)가 있어 제작연도를 분명히 알 수 있으며, 임진왜란 이전에 제작된 회화 작품들이 드문 실정에서 제작시기가 명확한 작품이 발견되어 미술사적 의의가 매우 크다.


이 작품은 발견 당시 일본식으로 꾸며져 있었으나, 현재 남아있는 동시대의 다른 계회도의 장황을 참고하여 조선식 족자로 보존처리했다.
▲화조화, 위로부터 보존처리 전,후
▲화조화, 위로부터 보존처리 전,후
또한 꽃과 새를 그린 민화 병풍 <화조화>는 소재가 다양하고 세부묘사가 정교하여 민화 화조화 중에서 수작으로 평가된다. 발견 당시 원래 8폭 병풍에 있던 그림을 잘라내어 8개의 코르크 패널 위에 하나씩 붙인 상태로 보관되어 있었다. 이에 각 패널 위에 붙어 있던 그림을 떼어내 조선식 8폭 병풍으로 복원하였다.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무료로 공개되는 두 작품은 국내 전시가 끝난 후 미국 현지에서도 특별전을 통해 소개될 예정이어서, 우수한 우리 문화유산을 국외에 홍보하는 좋은 기회가 될 전망이다.

<이미지제공=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