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하나금융연구소 |
앞으로 10년 후에는 IT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핀테크 업체가 은행 소비자 금융 수익의 60%를 가져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0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의 이재은 연구원은 세계적인 컨설팅업체 매킨지의 글로벌 뱅킹 연차보고서를 근거로 이 같이 진단했다. 매킨지는 미국·일본·중국을 포함해 90개국의 자료를 바탕으로 2025년 핀테크가 은행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매킨지는 이 보고서를 통해 핀테크 기업들이 진입 장벽이 낮은 소매금융 분야에서 은행 수익을 잠식할 것이며, 특히 신용대출, 할부금융 등에서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핀테크 업체들이 2025년 은행 소비자금융 매출의 40%, 수익의 60%를 가져갈 것으로 보고서는 예측했다. 또 지급 결제 분야에서 은행 수익의 35%를, 자산관리 분야는 30%를 핀테크업체가 차지할 것으로 추정했다.
경쟁이 극심할 것으로 보는 분야는 소비자금융, 지급결제, 중기대출, 자산관리, 주택담보대출 순이었다.
단, 자산담보대출과 신디케이트론 등 비교적 구조가 복잡하고 맞춤형 솔루션이 필요한 기업고객들은 계속 은행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재은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은 “은행 서비스의 디지털화는 점차 진화해 사용률이 높아졌을 뿐 아니라 매출 성장을 견인하는 중”이라며 “핀테크와의 고객 전쟁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고객 중심의 프로세스 혁신와 디지털 기술혁신 등 부단한 혁신 노력을 이어갈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