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어린이집 휴원' 

새정치민주연합이 민간어린이집 집단 휴원에 대해 정부의 보육정책 방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새정치는 25일 이언주 원내대변인의 서면 브리핑을 통해 "박근혜정부 들어 어린이집의 집단 휴원이 연례행사처럼 반복되고 있다"며 "박근혜 정부는 국가책임보육을 공약으로 내걸었음에도 수년간 보육료를 동결해오다 올해는 사상 처음으로 보육료를 삭감하기까지 했다"고 지적했다.

보육료는 올해 추가 편성한 예산보다 1760억원이 삭감된 상태다.

또한 "3~5세의 누리과정 예산을 지방정부와 지방교육청에 전가하는 등 정부는 공약으로까지 내건 국가책임보육을 방기하며 어린이집 운영난과 보육서비스의 질적 하락을 초래했다"며 "보육료의 삭감은 어린이집의 재정난을 한층 심화시킬 것이고, 이는 보육현장의 불안정 및 서비스의 질적 하락을 유발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정부는 보육정책 방기로 인한 피해가 결국 우리자녀들에게 미칠 수밖에 없음을 분명히 자각하고, 누리과정 등 내년도 보육예산 관련 현실적인 예산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전국 1만4000여곳의 민간어린이집이 회원으로 가입된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는 오는 28일부터 30일까지 보육교사들의 연차휴가 동시 사용과 집단 휴원 등 비상운영체제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정부가 영아반(만 0~2세) 보육료 예산을 3% 인상할 것처럼 발표했지만 정부의 국회 예산안에는 영아반 보육료 지원단가가 동결되는 것으로 반영돼 있다"며 "누리과정(만 3~5세) 보육료 예산은 교육부에도, 복지부에도 편성되지 않은 채 정부는 시도교육감이 책임지고 편성토록 하겠다는 설명만 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간 어린이집 휴원' /사진=뉴시스DB
'민간 어린이집 휴원' /사진=뉴시스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