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소주 3~4잔 이내의 음주가 뇌졸중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져 혈류가 중단되고 뇌 세포가 빠르게 죽으면서 나타나는 신경학적 증상을 말한다. 크게 뇌출혈과 뇌경색으로 구분하는데 우리나라는 전체 뇌졸중의 70~80%가 뇌경색이다.
6일 배희준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팀은 2011~2013년 뇌졸중임상연구센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20세 이상 환자 1848명과 비슷한 시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건강한 대조군 3589명을 연령대, 성, 교육수준 등에 맞춰 음주와 뇌경색위험도 비교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미국신경학회 공식 학술지인 '신경학' 최신호에 발표됐다.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과 비교했을 때 소주 1잔은 63%, 소주 2잔은 55%, 소주 3~4잔은 46%의 뇌졸중 예방 효과를 나타났다. 이런 효과는 남녀 간의 차이를 보여 남성은 3~4잔까지 뇌졸중 감소 효과가 관찰됐지만 여자는 1~2잔까지만 유효했다.
조사 대상자의 평균 주량은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많았지만 평소 술을 마시지 않는 경우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오히려 많았다. 뇌졸중 감소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된 '하루 한 잔 이내'의 음주는 환자군의 3분의 1, 대조군의 절반 정도가 해당했다.
배희준 교수는 이번 연구는 소주의 뇌줄중 예방 효과만 관찰한 것이라며 과음은 뇌졸중은 물론 다른 질병의 발생 위험을 높이는 만큼 건강한 남성 기준으로 하루 3~4잔 이내로 가볍게 마시는 게 뇌졸중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 주목해 설명했다.
![]() |
'소주 뇌졸중 예방'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