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 한 조사에 의하면, 20대 여성이 현재 50대보다 건강 면에서 더 걱정되는 노년을 보낼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유방암학회가 국내 유방암 환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12년에만 1만7,000명이 넘는 유방암 환자가 발생해 16년 사이 환자 수가 약 5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인구 10만 명당 환자도 70명을 기록해 유방암 환자가 지속해서 증가하는 수치를 보였다.


현재 20대들이 그 부모세대보다 유방암에 걸릴 위험은 2.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에 거주하는 20~50대 여성 1,000명(연령대별 각 250명)을 대상으로 유방암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로 유방암 발생률을 예측한 결과, 현재 20대와 50대가 74세까지 생존 시 유방암 발생률은 각각 7.42%와 3.14%로 20대의 위험도가 약 2.4배 높았다.

유방암 발병 위험이 증가한 배경으로는 급격한 산업화와 식생활 및 생활환경의 변화가 꼽혔다. 그뿐만 아니라 만혼과 출산율 저하, 빠른 초경과 늦은 폐경으로 여성이 여성호르몬에 노출되는 기간이 길어지는 것도 원인 중 하나로 꼽혔다.

유방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30세 이후 매월 유방 자가검진을 하고, 35세 이후에는 2년 간격으로 임상검진, 40세 이후에는 2년 간격으로 임상검진과 유방촬영을 하는 등 정기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유방암은 조기 발견이 중요한데, 조기에 발견하면 95% 이상 완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유방암은 0기의 경우 5년 생존율이 거의 100%인 데 비해 4기는 44.1%로 낮아진다. 빠른 발견과 정기검진에 따라 치료 경과가 달라지는 것이다.

갑상선암(갑상샘암)을 제외하고 국내 여성 암 발병률 1위를 차지하는 유방암은 급격한 신체 변화로 환자에게 자신감과 자존감 상실, 우울증 등을 유발하는 대표질환이다. 때문에 한국 유방암 환우 총연합회 등 국내 다양한 단체에서는 환우의 심리치료와 스트레스 극복을 돕기 위해 여러 방면에서 노력하고 있다.
한국 20대 여성 유방암 위험 점점 커진다
한국 유방암 환우 총연합회 의료자문위원 한선심 전일의료재단 이사장은 “한국은 세계보건기구에서도 유방암 위험 국가로 분류하고 있다”며 “발병 후 큰 상실감과 우울증에 노출되기 쉬운 유방암을 사회적 질병으로 인식하고 환자 개인을 넘어 가족과 사회의 관심과 애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