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적으로 걱정, 근심이 많은 병, 그래서 여러 가지 신체적인 증상이나 정신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 바로 불안장애다. 불안한 느낌이 지나치게, 그리고 광범위하게 나타나며, 다양한 신체증상이 동반되는 된다. 걱정이나 불안, 근심의 대상이 건강, 경제적인 문제, 실직, 학업성적, 취직 등 구체적인 경우도 있지만 무엇인가 끔찍한 일이 일어날 것 같은 막연한 느낌처럼 근거가 없는 불안도 있다.
불안감 때문에 항상 긴장한 상태에 있게 되고 자율신경이 날카로워져 있어 업무에 집중하기 힘들고 일상생활에도 많은 장애가 된다. 일반 인구의 약 25% 정도가 불안장애를 경험하며,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정도 더 많다고 알려졌다. 불안장애는 우울증과 병발하는 경우도 많다.
불안장애에는 공황장애, 범불안장애, 강박장애 등 다양한 질병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불안장애의 원인도 하나의 요소로만 설명할 수 없다. 공통적으로 불안장애는 유전적 요소가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으며, 공황장애 환자의 경우 절반 이상에서 1명 이상의 공황장애를 앓고 있는 친척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불안장애와 연관된 뇌 구조로는 전두엽, 변연계, 그리고 기저 신경핵 등이 불안을 일으키는 곳으로 후두엽이 불안의 장소라는 이론도 있다. 이런 곳의 기능적인 장애(신경전달물질의 부족, 또는 과다)가 불안을 유발한다.
불안장애 안에는 다양한 질병이 속해 있어 질병마다 치료법이 조금씩 다르다. 약물 치료의 경우는 보통 항우울제(SSRI 등)를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항불안제(벤조디아제핀 등)을 단기간 사용할 수 있다. 정신과 약물을 장기간 사용하면 약물 의존성이 생긴다고 일반적으로 생각을 많이 하는데 항우울제의 경우는 의존성이 거의 생기지 않고, 항불안제의 경우도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만큼 의존성이 잘 생기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항불안제의 경우는 가급적 단기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약물의 의존성에 대한 막연한 염려는 약을 조기에 중단하게 만들고 이로 인해 치료에 방해가 돼 오히려 약물 사용 기간만 더 길어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정신과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을 먹는 것이 약물 의존성을 낮추고 질병을 조기에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약물 치료 외에도 다양한 정신 치료, 인지 행동 치료, 이완기법, 바이오피드백 치료 기법을 이용하여 약물 치료와 병행 또는 단독으로 치료할 수도 있다.
![]() |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