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차 민중 총궐기' |
민중총궐기투쟁본부가 19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3차 집회 '소요문화제'를 연다.
투쟁본부는 이날 3차 집회가 전국 동시다발로 진행되며 총 10만명이 참여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소요문화제'는 소란스럽고 요란한 문화제를 말한다. 소란스럽게 들리고 요란스럽게 보인다는 의미다. 참가자들은 소란스럽게 소리나는 물품과 요란하게 보이는 가면이나 복장으로 참여하자는 취지를 담고 있다.
경찰이 민주노총 한상균 위원장 등 1차 총궐기 참가 단체 대표 등에 '소요죄'를 적용하는 것에 저항한다는 의미도 포함됐다.
문화제 핵심 의제는 ▲노동개악 저지 ▲백남기 농민 쾌유기원 ▲공안탄압 분쇄 ▲세월호 진상규명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등이다.
이어 문화제가 끝난 오후 4시부터는 파이낸스빌딩부터 종로5가를 거쳐 대학로 마로니에공원까지 행진이 예정됐다.
수도권은 오후 3시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열리며 ▲충남 오후 3시 온양온천역 광장 ▲광주·전남 오후 3시 5·18민주광장 ▲전북 오후 3시 전주 세이브존 앞 ▲경남 오후 3시 창원 정우상가 ▲강원 오후 3시 원주역 광장 등에서 진행된다.
대전(으능정이 거리)과 충북(청주 상당공원), 경북·안동(문화의거리) 등은 이보다 한 시간 앞선 오후 2시께 시작한다.
이와 함께 대구·경북은 오후 2시30분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울산은 오후 4시 태화강역, 부산(서면 쥬디스태화 앞)과 제주(시청 앞) 등은 오후 7시부터 벌일 예정이다.
앞서 서울경찰청은 지난 17일 "문화제로 위장한 불법집회로 변질될 경우 현장에서 해산절차를 진행하겠다"며 "불법으로 차로를 점거해 행진을 시도하면 현장 검거로 엄정 대응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치적 현수막을 내걸거나 유인물 배포, 구호제창 등이 이뤄진다면 집회시위로 볼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경찰 관계자는 "상황을 종합적·구체적으로 봐야겠지만 미신고 집회로 판단될 경우 또는 공공불편이나 위협이 있을 시 자진해산을 권고하겠다"며 "이에 응하지 않으면 사법처리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다만 "당일 행사가 순수한 문화제로 개최될 경우 교통관리 등 행사안전 확보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하겠다"고 강조했다. 문화제 개최가 보장되면 주최 측에 보신각부터 마로니에 공원까지 2개 차로를 이용하도록 통보한다는 방침이다.
반면 투쟁본부 측은 "문화제와 행진 모두 법적 신고와 승인절차를 마친 상태"라며 "경찰 당국은 '문화제가 집회로 변질될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문화제마저 금지하려 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또 "문화제를 위한 가면이나 악기 등은 참가자 자율에 맡겼을 뿐 본부 측에서 배포한다거나 하는 건 없다"며 "구호를 외치는 등에 대해 얼마나 엄격한 기준을 적용할 지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투쟁본부는 서울시에 광화문광장 이용 관련 5000명이 참가할 것으로 신고했다. 경찰은 2000~3000명 내외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