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의도 증권가. /사진=머니위크 DB |
◆WM 강화 나서는 증권사들
내년에 통합출범 2년째를 맞는 NH투자증권은 WM전략본부를 신설하는 등 조직개편을 추진하며 자산관리와 자산운용역량을 강화한다.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자문기반서비스와 고객수익률을 최우선으로 평가하는 영업모델로 변화하기 위해서다.
NH투자증권 관계자는 “이번 조직개편의 핵심은 고객중심의 영업모델로 체질변화를 완성하고 급변하는 시장의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해 영업모델이나 수익성 측면 모두 완성된 사업구조를 갖는 것”이라며 “증권업 패러다임이 바뀌는 중요한 시점임을 고려해 조직개편을 추진했다”고 말했다.
삼성증권은 고객중심의 자산관리서비스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기존 리테일본부를 WM본부로 변경했다. 또 WM본부 내 조직이었던 VIP고객 전담 ‘SNI사업부’와 온라인고객 전담 ‘스마트사업부’를 본부에서 분리해 최고경영자(CEO) 직속으로 편제했다.
삼성증권은 고객중심의 자산관리서비스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기존 리테일본부를 WM본부로 변경했다. 또 WM본부 내 조직이었던 VIP고객 전담 ‘SNI사업부’와 온라인고객 전담 ‘스마트사업부’를 본부에서 분리해 최고경영자(CEO) 직속으로 편제했다.
명칭이 변경된 WM본부는 상담과 업무처리기능이 혼재했던 기존 지점을 상담 중심의 WM지점과 WM브랜치, 상담과 업무처리, 법인영업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대형지점으로 분리했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이번 조직개편은 내년 고객중심경영 2기를 맞아 현장과 본사의 조직체계를 고객중심으로 혁신하겠다는 의지가 담긴 것”이라고 설명했다.
HMC투자증권은 이달 초 WM사업본부 지점장급을 순환시키는 인사를 단행했다. 경인센터, 서초센터, 울산센터, 대구지점, 부산지점 등이 대상이었다. WM사업 강화를 위해서는 지점장들이 다양한 지역을 경험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HMC투자증권은 올해 리테일영업 축을 브로커리지에서 자산관리로 전환하기 위해 장기로드맵을 수립하는 등 WM사업을 강화해왔다.
SK증권도 경쟁력 강화를 위해 WM사업부문을 신설하는 내용의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WM사업부문은 기존 서울·경기영남·충청호남 3개 지역본부에서 1지역·2지역본부로 재편한다. 또 WM추진본부 내에 모바일사업팀을 신설해 빠르게 변화하는 모바일 환경에 선도적으로 대응한다.
◆새 수익원으로 부상하는 WM
증권사들이 WM 강화에 나선 것은 내년 불확실한 증권업계에 WM이 새로운 수익원으로 떠오르고 있어서다. 저금리·저성장 기조로 갈 곳 잃은 투자자들이 자산관리에 눈을 돌리면서 자산관리시장은 점점 커지고 있는 추세다.
특히 주가연계증권(ELS) 상품 축소에도 랩어카운트의 인기가 지속된다는 점은 WM사업 수익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뿐만 아니라 내년 한국형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도입으로 예·적금 자금까지 증권사로 유입될 것으로 기대되는 이유도 있다. 저금리로 인해 기존 투자은행과 리테일부문에서는 더 이상 수익원을 확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수료 수입에서 벗어난 새로운 먹거리 확보를 위해 WM 강화에 나선 것이다.
다만 해외와 비교했을 때 검증된 전문가가 많지 않은 점이 문제다. 투자자들은 상품보다는 운용전문가를 보고 투자한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 검증된 전문가가 부족해 한계가 있다. 이석훈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원은 “WM 전문가 육성을 위한 플랫폼 구축에 힘을 써야 장기적으로 WM시장이 성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HMC투자증권은 이달 초 WM사업본부 지점장급을 순환시키는 인사를 단행했다. 경인센터, 서초센터, 울산센터, 대구지점, 부산지점 등이 대상이었다. WM사업 강화를 위해서는 지점장들이 다양한 지역을 경험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HMC투자증권은 올해 리테일영업 축을 브로커리지에서 자산관리로 전환하기 위해 장기로드맵을 수립하는 등 WM사업을 강화해왔다.
SK증권도 경쟁력 강화를 위해 WM사업부문을 신설하는 내용의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WM사업부문은 기존 서울·경기영남·충청호남 3개 지역본부에서 1지역·2지역본부로 재편한다. 또 WM추진본부 내에 모바일사업팀을 신설해 빠르게 변화하는 모바일 환경에 선도적으로 대응한다.
![]() |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
증권사들이 WM 강화에 나선 것은 내년 불확실한 증권업계에 WM이 새로운 수익원으로 떠오르고 있어서다. 저금리·저성장 기조로 갈 곳 잃은 투자자들이 자산관리에 눈을 돌리면서 자산관리시장은 점점 커지고 있는 추세다.
특히 주가연계증권(ELS) 상품 축소에도 랩어카운트의 인기가 지속된다는 점은 WM사업 수익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뿐만 아니라 내년 한국형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도입으로 예·적금 자금까지 증권사로 유입될 것으로 기대되는 이유도 있다. 저금리로 인해 기존 투자은행과 리테일부문에서는 더 이상 수익원을 확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수료 수입에서 벗어난 새로운 먹거리 확보를 위해 WM 강화에 나선 것이다.
다만 해외와 비교했을 때 검증된 전문가가 많지 않은 점이 문제다. 투자자들은 상품보다는 운용전문가를 보고 투자한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 검증된 전문가가 부족해 한계가 있다. 이석훈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원은 “WM 전문가 육성을 위한 플랫폼 구축에 힘을 써야 장기적으로 WM시장이 성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