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의 경제제재가 37년만에 해제됐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이 16일(현지시간) 원유·천연가스 수출금지를 골자로 한 이란 경제제재를 풀었다.
경제제재가 풀림과 동시에 우리도 이란과의 무역, 건설 수주와 금융거래제재조치를 17일부터 폐지했다. 정규돈 기획재정부 대외경제국장은 “석유화학제품, 석유자원개발, 자동차, 귀금속, 조선, 항만, 해운 등 교역금지 내용을 규정한 이란 교역 및 투자 가이드라인을 이날부터 폐지한다”고 말했다.
이란은 2014년 기준 인구가 8048만명으로 중동에서 이집트 다음으로 많다. 우리로서는 닫혀있던 대외수출길이 하나 더 확보된 셈이다.
우리나라는 2012년부터 이란에 대한 제재에 동참해 대이란수출 규모가 2012년 62억5000만달러에서 지난해 37억6000만달러까지 축소됐다. 특히 큰 타격을 입은 분야는 가스·정유 플랜트 건설이었다. 이번 제재 해제는 다시 중동 건설을 비롯해 자동차와 가전 등 한국의 수출산업에 활기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윤갑석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정책관은 "이란과 수출이 최고조였던 2012년 63억 달러에 근접한 수준으로 올해 회복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다만 기술력이 좋은 유럽·일본과 저가로 무장한 중국·인도 기업과도 경쟁해야 한다.
![]() |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좌측)과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이 16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에 있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본부에서 대 이란 경제 제재 해제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IAEA는 이란이 의무 이행 사항을 모두 준수했다는 보고서를 운영이사회와 유엔안보리에 제출했다. 이로써 지난해에 타결된 이란과 P5+1(미국과 영국, 프랑스, 러시아, 중국, 독일) 간 역사적 핵합의(JCPO, 포괄적 공동행동계획)은 발효되게 됐다. /사진=뉴스1(AFP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