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종로구 SM면세점 서울점에서 관광객들이 쇼핑을 하고 있다/사진=뉴스1DB |
14일 업계에 따르면 신규 면세점 사장단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 뱅커스틀럽에서 해외를 열고 "시장이 안정을 찾을 때까지 특허를 추가해선 안된다"며 "신규 면세점들이 오픈하고 1년 정도는 지켜본 뒤 시장이 커지면 또 다른 신규 업체 진입이 검토돼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날 회의에는 성영목 신세계디에프 사장, 권희석 에스엠면세점 대표이사, 양창훈 HDC신라면세점 사장, 황용득 한화갤러리아 사장, 이천우 두산 부사장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권희석 대표는 "신규 면세점이 세팅하는 걸 봐줘야 하는데 계속 신규 면세점을 늘리면 물건 못 채우는 면세점들이 정상적인 유통 경로를 찾지 못해 병행수입을 하거나 중국처럼 짝퉁이 섞일 수도 있다"며, "한국의 면세점 산업이 전체적으로 추락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국내 면세점들은 중국계 여행사들에 수수료를 26%까지 주고 있다"며, "국제적인 수수료 14%의 2배에 가깝다"고 덧붙였다.
신규 면세점들은 또 브랜드 유치 어려움과 전문인력난 등에 시달리고 있다고 호소했다. 황용득 사장은 "탈락한 롯데 월드타워점과 SK워커힐이 투자했다는 돈이 4000억원이고 고용된 인력은 2200명인데 신규 면세점의 신규 투자비는 1조700억원, 고용인력은 1만4200명"이라며 "신규 면세점의 손해가 더 큰데도 탈락 면세점의 얘기만 부각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천우 부사장은 "현재 전문인력을 제대로 구하지 못했다"며 "전문인력은 탈락한 면세점에서 와야 하는데 아직 오지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고, 성영목 사장도 "인력을 뽑아 2~3개월 교육해야 하는 신규 업체들의 불투명성이 커졌다"고 지적했다.
한편, 정부는 16일 이날 서울 서초구 반포동 서울지방조달청 대강당에서 '면세점 제도 개선 공청회'를 개최한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시장진입 요건, 특허기간, 특허수수료 개선방안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