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머니위크DB |
6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해 분양가 대비 전셋값이 100% 이상인 주택은 14.3%로 2013년 2.5%, 2014년 4.7%와 비교해 증가했다.
분양가 대비 전셋값이 80% 미만인 경우는 2013년 78.3%, 2014년 72.3%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나 지난해에는 41.7%로 감소했다. 지난해 분양가 대비 전셋값이 80~100% 미만인 비중은 45.4%로 증가해 80% 미만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지방광역시의 전셋값이 비싼 아파트 비중이 29.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구는 56.5%가 분양가 대비 전셋값이 100% 이상으로 조사돼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80% 미만은 10.1%에 불과했다.
수도권은 분양가 대비 전셋값이 100% 이상인 경우가 11.4%로 조사됐다. 서울 14%, 인천 15.4%, 경기 9.7%로 나타났다. 서울의 경우 분양가 대비 전셋값이 80% 미만인 주택이 25%를 차지하고 인천과 경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최성헌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책임연구원은 "가파른 전셋값 상승으로 인해 임차인의 부담뿐 아니라 집주인의 리스크가 커졌다"며 "전셋값 하락에 대한 안전장치가 없는 상황에서 전세보증금 반환 위험이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최 연구원은 "전셋값 상승이 임차인에게는 전세금 조달의 부담으로 작용하고 집주인에게는 전세보증금 반환이라는 잠재적 부담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