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런치(Brunch)는 서양에서 유입된 문화로, 그 동안 시중에 판매하는 브런치 메뉴 역시 대부분이 서양식 요리였다. 이렇다 보니 메뉴의 선택지가 다양하지 못했을 뿐 더러, 밥이 주식인 한국인들이 첫 끼로 먹기에는 다소 부담스럽기도 했다.

최근에는 한국인들의 입맛에 잘 맞는 속 편안한 ‘오리엔탈 브런치’가 인기를 얻고 있다. 한식 샐러드바 ‘자연별곡’은 평일 오전에 브런치를 즐기러 오는 주부들의 수요를 파악하고 오픈 시간을 30분 앞당겼다. 한식을 브런치로 즐기는 트렌드를 이끌어냈다는 것이 업계의 평이다.

죽을 브런치 메뉴로 내놓는 프리미엄 죽 카페도 탄생했다. 죽전문점 ‘본죽'은 죽을 특화해 자리잡은 프랜차이즈 브랜드이다. 독특한 컨셉으로 죽이 몸이 아플 때만 먹는 환자식이라는 고정관념을 깨고, 브런치 메뉴로서 죽을 선보이고 있다. 

이 외에도 국물이 시원한 베트남 쌀국수를 오전부터 즐기는 이들이 늘어나는 등, 브런치 메뉴의 다양화ㆍ동양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인지도가 높은 메뉴는 바로 ‘딤섬’이다. 딤섬(點心)이란 ‘마음을 어루만지다’라는 뜻으로 ‘요기를 달래는 간단한 식사’를 의미하는데 홍콩 사람들이 아주 오래 전부터 즐겨 찾는 브런치 메뉴로 알려져 있다. 

최근 홍콩, 중국 등지로의 여행을 통해 딤섬과 차를 먹으며 이야기를 나누는 홍콩의 브런치 문화 ‘얌차’를 접한 이들이 늘어나며, 국내에서도 딤섬이 브런치 메뉴로 인기를 끌게 된 것으로 보인다.

20~30대 젊은 고객층의 방문이 높은 크리스탈 제이드 파미에스테이션점은 상해식 딤섬인 ‘소롱포’가 전체 매출의 20%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주말 오전에 브런치를 찾는 2030 여성들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크리스탈 제이드는 중국 현지 쉐프들이 정통 레시피를 그대로 사용하여 딤섬을 만들기 때문에, 국내에서 홍콩의 ‘얌차’ 문화를 경험하고자 하는 이들이 크리스탈 제이드를 찾은 것으로 보인다.

크리스탈 제이드 소공점은 ‘주말 딤섬 런치 세트’를 론칭하고, 싱가폴과 중국 현지에서 파견된 전문 딤섬 쉐프들이 직접 빚은 수제 딤섬을 제공하고 있다. 

올해 창립 25주년을 맞는 크리스탈 제이드의 관계자는 “리얼 차이니즈 푸드를 지향하는 만큼 본토의 맛을 그대로 살린 딤섬이 크리스탈 제이드의 스테디셀러 메뉴”라며 “딤섬을 찾는 고객들이 점점 많아져 앞으로도 딤섬을 활용한 다양한 세트 메뉴와 프로모션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 글로벌 중식당 크리스탈 제이드의 ‘새우교자’ @머니위크MNB, 식품 유통 · 프랜차이즈 외식 & 창업의 모든 것
▲ 글로벌 중식당 크리스탈 제이드의 ‘새우교자’ @머니위크MNB, 식품 유통 · 프랜차이즈 외식 & 창업의 모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