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시간은 15년만에 1시간 가까이 늘었다. 2014년 필수시간은 11시간 14분으로, 10시간 18분을 기록한 1999년 이후 증가하는 추세다. 1999년에 비해 수면이 12분, 식사 및 간식이 23분, 기타 개인유지 시간이 20분씩 증가했다.
의무시간은 15년만에 55분이 줄었다. 2014년 일·학습 등 의무시간은 7시간 57분으로 8시간 52분이었던 1999년 이후 줄어드는 모습이다. 이는 주5일 근무와 주5일 수업실시 영향으로 1999년에 비해 일한 시간이 27분, 학습 시간이 29분 줄어든 영향으로 보인다.
필수시간과 의무시간 변동에 비해 여가시간은 15년 사이 큰 차이가 없었다. 2014년 여가시간은 4시간 49분으로 4시간 50분을 기록한 1999년보다 오히려 1분 줄었다. 1999년에 비해 스포츠 및 레포츠 활동은 12분 늘었지만 TV시청과 교제활동은 각각 10분과 8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사항을 보면 젊은 세대의 필수시간이 늘었다.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는 일하는 시간이 점차 줄고 있지만, 이들의 자녀 세대인 에코 세대(1979~1992년생)는 증가하는 추세다. 베이비붐 세대의 퇴직과 에코 세대의 사회진출이 맞물리면서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가사노동의 경우, 성인 남자의 가사노동 평균시간은 증가 추세를 보였다. 1999년에 비해 2014년에 평일·주말 모두 9분에서 26분 정도 성인 남자의 가사노동 평균시간이 늘었다.
20세 이상 취업자의 통근 시간은 2014년 수도권이 1시간 36분으로 비수도권 1시간 11분에 비해 25분 더 걸렸다. 통근 시간은 수도·비수도권, 남녀 여부와 관계없이 모두 1999년에 비해 2014년에 더 늘었다.
이번 조사는 국민들이 하루 24시간을 어떤 형태로 보내고 있는지 파악해 생활방식과 삶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실시됐다. 더 자세한 내용은 통계청 홈페이지에서 보고서를 내려받아 확인할 수 있다.
![]() |
10세 이상 인구의 생활시간 변화. /자료=통계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