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출판 전문기업 천재교육은 2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설문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4월 1일부터 24일까지 전국 초·중생 599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 부모와 대화 시간 ‘2시간 이상’ 원하지만 기대치에 크게 못 미치는 실제 대화 시간
설문 결과, 가정 내에서 부모와의 대화 시간은 자녀들이 원하는 시간에 비해 많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응답자 중 40.2%의 학생들이 부모와 대화 시간이 ‘부족하다’고 답한 가운데, 가장 적당하다고 생각되는 대화 시간으로는 ‘2시간 이상(35.9%)’에 가장 많은 학생들이 답했으며 ‘1시간 이상~2시간 미만(33.9%)’이 바로 그 뒤를 이었다.
실제 부모와의 대화 시간을 살펴보면, 그나마 엄마와의 하루 동안 대화 시간은 ‘30분 이상~1시간 미만(31.4%)’, ‘2시간 이상(27.9%)’ 순으로 높게 나타나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대화 시간과의 괴리가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아빠와의 대화는 기대치에 절반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조사됐다. 아빠와의 대화 시간은 ‘30분 미만’이라고 답한 비율이 약 40% 달해 가장 많았고, ‘대화를 전혀 하지 않는다’는 의견도 6% 가까이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님이 가장 많이 하는 말’을 묻는 질문에는 엄마, 아빠 양쪽 모두 학교생활과 교우관계를 묻는 말을 가장 많이 한다고 답했다. 다만 엄마의 경우, 절반이 넘는 51.6%가 ‘친구나 학교생활에 대해 묻는 말’을 가장 많이 한다고 응답해 압도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인 반면, 아빠의 경우 ‘친구나 학교생활에 대해 묻는 말’, ‘칭찬하는 말’을 비슷한 비율로 많이 한다고 응답했다.
◆ 고민 생겼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사람, 실제 고민을 잘 들어주는 사람 ‘엄마’로 일치
학생들은 고민이 생겼을 때 가장 먼저 ‘엄마(404명)’를 떠올린다고 답했으며 이어서 ‘또래친구(105명)’를 꼽았다. 또한 실제로도 고민이 생겼을 때 가장 잘 들어주고 이해해주는 사람으로 ‘엄마(369명)’를 꼽은 비율이 학생 10명 중 6명에 달해 압도적이었다. 반면, ‘아빠(82명)’를 꼽은 비율은 ‘또래친구(98명)’보다도 낮게 나타났다.
◆ ‘일하는’ 아빠, ‘집안일하는’ 엄마로 가장 강하게 인식… 엄마 이미지 다양, 아빠 이미지 고정적
자녀가 생각하는 부모의 모습은 어떨까. ‘우리 엄마와 가까운 모습’으로는 ‘요리, 청소, 빨래 등 집안일 하는 엄마’라는 의견이 약 4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우리 아빠와 가까운 모습’에는 ‘직장에서 열심히 일하는 아빠’라는 의견이 70% 가까이 나타났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가정 내에서 아빠의 이미지는 자녀들과 대화를 하거나 가정적인 모습보다는 ‘일하는’ 이미지로 가장 강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이는 자녀와 대화와 소통이 부족한 점과도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
반면, 엄마에 대한 이미지는 여전히 ‘집안일 하는 엄마’의 이미지가 강하긴 하나, 여러 답변으로 분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엄마의 이미지로 ‘나와 많은 시간을 보내는 엄마’, ‘직장에서 일하는 엄마’ 등도 각각 28.5%, 20.4%로 집계돼 자녀와 놀거나 공부를 봐주고, 사회 생활을 하는 등 다양한 이미지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미지제공=천재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