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닛산 배출가스. /자료사진=뉴시스 |
닛산 캐시카이의 배출가스 조작 파문이 해결비용만 수십조원에 달하는 지난해 폭스바겐 디젤게이트급으로 커질지에 업계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환경부 방침에 따라 재조사에 나설지는 미지수다. 앞서 이미 유럽 국가들이 유사한 환경시험을 통해 차량의 배출가스 저감장치의 작동을 조작으로 볼 수 없다는 입장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환경부는 지난 16일 캐시카이의 배출가스 저감장치인 배출가스재순환장치가 엔진 흡기온도 35℃까지 정상 작동하지만 35℃를 넘어서면 작동이 중단토록 설계했다며 이를 조작이라고 밝혔다. 배출가스 재순환장치가 꺼질 경우 더욱 많은 유해물질인 질소산화물을 배출하게 된다. 환경부는 다른 모델 대부분이 50℃ 이상에서 배출가스 재순환장치가 꺼지데 반해 캐시카이는 이보다 15℃가량 낮은 35℃에서 꺼지는 것을 임의설정으로 규명했다.
문제는 유럽의 독일, 프랑스, 영국 등이 이와 유사한 테스트를 진행했지만 캐시카이의 사례를 임의조작으로 보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들 국가는 캐시카이를 포함해 현지에서 판매되는 주요 디젤차를 조사한 결과, 전 차종에서 배출가스 저감을 위한 임의조작은 없는 것으로 판단했다. 한국닛산 역시 이를 근거로 국내에서 판매된 캐시카이 유로6 모델이 문제가 없다는 점을 반박하고 나선 상태다.
캐시카이의 경우는 폭스바겐 디젤게이트와도 성격이 다르다. 폭스바겐은 배출가스 양을 조작하기 위해 테스트 중에만 이를 줄여주는 소프트웨어를 차량에 넣었고 해당 사실을 인정했다. 반면 닛산은 엔진 부품을 보호하기 위해 배출가스재순환장치 작동이 멈추는 온도를 35℃로 설정했을 뿐, 배출가스 저감을 위해 조작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업계에서는 환경부의 적발이 유럽 당국의 캐시카이 재조사로 확대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낮게 점치고 있다. 이미 각국이 관련 테스트를 진행해 문제가 없다고 발표한 만큼 이를 번복하고 재조사를 진행할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