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을 겨냥한 사정 칼바람이 거세다. 6월 들어 대우조선해양과 롯데그룹에 대한 전방위 검찰 수사가 시작된 것. 대우조선해양은 대검 중수부의 부활이라는 평가를 받는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단장 김기동 검사장)의 타깃이 됐고, 롯데그룹은 서울중앙지검 특수4부와 첨단범죄수사1부가 동시에 털고 있다.

◆사정당국, 동시다발 대기업 수사 착수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는 법조계를 뒤흔든 정운호 네이처리퍼블릭 대표 로비 의혹을 수사 중이다. 정 대표가 로비를 한 대상에는 신영자 롯데장학재단 이사장도 거론된다. 이에 따라 신 이사장 자택과 호텔롯데 면세사업부가 이달 초 압수수색을 받았으며 신 이사장은 조만간 검찰 소환조사도 받게 될 전망이다. 

동부그룹도 검찰의 수사 대상에 포함됐다. 서울중앙지검 조사1부는 동부그룹이 대우전자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회사에 손해를 끼친 혐의로 고발된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과 고원종 동부증권 사장 등 임원 4명에 대한 초기 수사를 진행 중이다. 특히 김 회장은 수백억원 규모의 계열사 주식을 차명으로 보유하다 내부정보를 이용해 주식을 처분해 손실을 회피한 혐의도 받고 있다.

/사진=뉴스1
/사진=뉴스1

서울남부지검은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주식을 매각해 10억원가량의 손실을 회피한 혐의를 받고 있는 최은영 전 한진해운 회장(현 유수홀딩스 회장)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다. 지난 14일 최 전 회장에 대한 구속영장이 기각되기는 했지만 검찰은 영장 재청구를 포함해 정보 제공자로 의심되는 주변인들에 대한 수사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거론 안된 기업도 불똥 튈까 몸 사려

서울중앙지검 특수4부는 롯데그룹에 대한 수사와 함께 횡령·배임 혐의 등으로 고발된 조현준 효성 사장에 대한 수사도 함께 맡고 있다. 동생 조현문 전 효성 부사장이 지난 1년간 조 사장 등을 상대로 30여차례 고발장을 접수한 사건에 대해서도 들여다보고 있는 것이다. 조 사장은 별건인 조세포탈과 횡령 혐의 등으로 기소돼 지난 1월 1심에서 집행유예를 선고받기도 했다.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세조사부는 평창 올림픽 기반시설인 ‘원주~강릉 고속철’ 공사 입찰 담합 의혹을 받고 있는 현대건설, 두산중공업, KCC건설, 한진중공업을 지난 4월 압수수색한 뒤 수사를 진행 중이다.

검찰 관계자는 “관련 부서에서 대기업들의 비리에 대한 자료들을 많이 축적해놨고 차례로 수사에 착수한 것”이라며 “아직 본격적으로 수사에 착수한 것은 아니지만 다양한 자료를 검토하고 있는 다른 기업도 많다”고 말했다.

‘경제 검찰’로 불리는 공정거래위원회도 여러 대기업에 대한 비리 혐의를 포착하고 조사를 진행 중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한진, 하이트진로, 한화, CJ 등 일감 몰아주기 의혹이 있는 기업들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재계 관계자는 “박근혜 정부가 레임덕을 사전에 차단하고 국정운영의 주도권을 계속 가져가기 위해 전임 정부에서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이 있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광범위한 사정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며 “아직 거론되지 않은 기업들도 행여나 불똥이 튈까 몸을 사리는 분위기”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