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남규 한화생명 사장. /사진=한화생명
차남규 한화생명 사장. /사진=한화생명
“현 상황과 장래를 냉정하게 바라보고 저금리·저성장 등 변화하는 환경에 맞지 않는 정책에 대한 전면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차남규 한화생명 사장이 14일 경기도 용인 연수원에서 열린 ‘2016년 하반기 경영전략회의’에서 이같이 말했다.

차 사장은 “혁신이란 본인 직무에 대한 역할을 명확히 규명하고 변화를 예측해 중장기 대응전략을 수립하고 실천하는 것”이라며 “위기에 대해 철저히 대비하는 것은 물론 남들이 보지 못하는 기회도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브렉시트 등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증대와 국내 저성장·저금리의 지속, 재무건전성 및 소비자보호 강화 등 어려운 경영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혁신방안에 대해 논의됐다. 위기를 기회로 삼아 ‘세계 초일류 보험사 도약’이라는 비전 달성을 가속화 하겠다는 취지에서다. 이를 위해 한화생명은 40개 혁신과제를 선정해 세부 실천방안에 대한 계획에 대한 토론을 벌였다.

구체적인 실천방안으로는 영업 부문에서는 핵심고객 확보를 위한 차별화 마케팅을 강화하고 빅데이터를 연계한 5대 고객관리지원모델을 구축하는 등 고객관리 선진화를 추진한다.

또한 다양한 고객과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것은 물론 재무건전성 강화에 대비한 차별화된 보험상품 개발을 위해 프로세스 전반에 대한 개선작업을 실시한다. 전국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영업조직의 구조도 다각화 해 유연성·확장성을 가질 수 있는 조직으로 바꾼다.


투자 부문에서는 브렉시트 현실화, 세계 각국의 마이너스 금리 도입, 하반기 국내 정책금리 인하 가능성 등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해외채권을 위주로 한 해외비중과 수익 다변화를 위한 대체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통합자산관리시스템을 구축해 자산의 배분, 운용, 평가 체계를 정교화한 시스템적 의사결정체계를 갖출 예정이다.

아울러 한화생명은 해외 사업 강화를 위해 진출 8년차인 베트남 법인의 올해 흑자 전환 및 2020년 TOP5 진입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중국 법인은 작년 저장성 내 외자사 2위를 넘어 올해는 1위 달성과 상하이, 장쑤성 등으로 신규시장 진출을 추진한다. 인도네시아 법인은 방카슈랑스 신규 제휴 등의 판매 채널 다변화를 통한 성장전략을 지속 추진하며, 추가 진출 지역에 대한 모색도 가속화한다.

한편 인터넷 전문은행인 K뱅크가 본인가 신청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보험사로서 유일하게 참여한 한화생명은 방카슈랑스를 위한 준비를 연내 마무리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