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명주소 검색. 도로명주소 개발자센터. /사진=행정자치부 제공
도로명주소 검색. 도로명주소 개발자센터. /사진=행정자치부 제공

도로명주소 검색이 앞으로 더 편해진다. 행정자치부는 공공기관·민간기관 웹사이트에서 도로명주소 검색시 불편했던 점을 개선하기로 했다고 오늘(28일) 밝혔다.
올 상반기 웹사이트 도로명주소 활용현황 조사결과 일부 사이트에서 신규주소 미검색, 주소표기 오류 등 불편사항이 조사됐다. 행자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공·민간기관 웹사이트에 대한 맞춤형 기술지원과 사이트 초기 제작부터 도로명주소를 정확히 검색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추진한다.

먼저 주소사용이 많은 쇼핑몰‧택배 등 2만여 개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활용실태를 분석해 사이트 별 검색 불편사항 개선 가이드를 제공하는 등 맞춤형 컨설팅을 실시한다. 또 주소검색 불편 사항이 주로 발생하는 중소규모 쇼핑몰은 해당 웹사이트 관리를 대행하는 전문기업과 개발자 간담회 등을 통해 검색 오류 사항을 시정하고 필요한 기술을 지원한다.


더불어 웹사이트에서 최신 주소정보를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기술지원도 확대할 계획이다. 주소 데이터베이스를 따로 구축하지 않는 중소규모 웹사이트에는 도로명주소 홈페이지와 연계된 표준 검색화면을 활용하도록 지원하며, 주소 데이터베이스를 자체 구축·활용하는 대규모 웹사이트에는 최신주소를 자동으로 업데이트 해주는 주소검색솔루션을 개발해 제공한다.

또 웹사이트 개발자의 도로명주소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로명주소 홈페이지에 개발자센터를 새롭게 마련할 계획이다. ‘도로명주소 개발자센터’에서는 주소검색기 활용법과 주소DB 연계활용법 등 사례를 공유하고 프로그램 소스도 공개해 누구나 활용할 수 있게 했다.

행정자치부는 한국지역정보개발원 등과 함께 ‘도로명주소 활용지원반’을 구성해 웹사이트에서 주소검색 불편사항을 해소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김장주 행정자치부 지방세제정책관은 “올해 안에 도로명주소 검색 불편 사항을 개선해 국민들이 도로명주소를 편리하게 사용하고 도로명주소가 생활 속에 정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도로명주소 검색 예시. /자료=행정자치부 제공
도로명주소 검색 예시. /자료=행정자치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