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투자증권, 상반기 영업익 433억원… ROE 9%
KB투자증권이 전 부문에서 꾸준한 실적 증가세를 보이며 상반기 영업이익 433억원을 기록했다고 18일 밝혔다.
KB투자증권은 지난 1분기에 215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린 데 이어 2분기에는 이보다 1.4% 증가한 218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 상반기 총 433억원의 영업이익을 시현했다고 밝혔다. 상반기 자기자본이익률(ROE) 역시 9%로 업계 상위권의 양호한 성적을 유지했다.

KB투자증권이 지난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양호한 실적을 거둔 데는 핵심사업부문인 기업금융(IB)부문의 수익성 증대와 자산관리(WM)부문의 양적·질적 성장 등 부문간 균형적 성장에 기반했다는 평가다.


부문별로는 IB의 기존 강점부문인 채권자본시장(DCM)부문이 상반기에도 회사채, 자산유동화증권(ABS) 시장점유율 20.55%의 압도적인 수치로 리그테이블 1위를 수성했고 주식자본시장(ECM)부문 역시 상반기 스팩(SPAC) 신규상장 1건, 합병상장 1건을 성사시키며 누적 상장개수 9개, 합병성사 7개로 실적 견인차 역할을 했다.

투자금융본부는 그간 구축한 딜 파이프라인 실적 가시화로 1분기보다 34% 증가한 61억2000만원의 순영업수익을 시현했다. 이러한 고른 실적 호조를 바탕으로 IB부문의 상반기 순영업수익 실적은 36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 직전반기 대비 148% 대폭 증가했다.

WM부문에서도 반기 순영업수익 262억원으로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그룹차원에서 전략적으로 추진한 복합점포 실적이 가시화 되며 지난 5월~6월 전 지점 세전이익 흑자를 기록했으며 상반기 지점 AUM(총 운용자산) 역시 5조176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했다.


S&T부문 또한 지난 해 상반기 대비 35% 증가한 302억원의 순영업수익을 달성했다. 상반기 대부분의 증권사가 항생지수 하락 등 불안한 시장환경으로 파생결합증권 운용 부문에서 큰 폭의 손실을 기록한 반면, KB투자증권은 선제적 리스크관리를 통한 ELS 헤지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실적 증가세를 유지했다.

KB투자증권 관계자는 “지난 2년간 부문간 균형성장 기반을 공고히 다져온 만큼 시황급변이 예상되는 하반기에도 견조한 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